•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빙몽유록>의 양식적 특징과 서사의 의미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Anbingmong-yuro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9
31P 미리보기
&lt;안빙몽유록&gt;의 양식적 특징과 서사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200호 / 181 ~ 211페이지
    · 저자명 : 엄태식

    초록

    <안빙몽유록>의 주인공 안빙은 과거에 낙방했지만 날마다 즐겁게 정원을 소요하는 인물로, 어느 날 홰나무를 보고는 괴안국 이야기가 떠올랐고, 이어 꿈을 꾼다. 그의 꿈은 뇌리에 각인된 정원의 구조와 홰나무에서 연상된 괴안국 이야기가 결합된 것일 뿐, 그 밖의 동기는 없다. 안빙의 몽중 세계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꽃이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인데, 그들의 형상화 및 발화・시작은 사물의 속성과 관련된 전고의 연상 작용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부인・반희’는 소인으로, ‘조래선생・수양처사・동리은일’은 은자・군자로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그들 사이의 갈등은 구체화되지 않으며, 독자들은 이것이 정치적 우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 안빙은 각몽 이후 정원을 확인하는바, 이로써 몽중 세계의 일들은 완벽히 설명되므로, 독자들은 더 이상 꿈속의 일을 정치적 우의로 읽을 수 없게 된다. 안빙은 동중서처럼 장막을 내리고 정원을 돌아보지 않으니, 이는 그가 학업에만 전념하였음을 의미한다.
    <안빙몽유록>은 몽유전기와 가전체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의미의 모호함을 가중하고 우의적 독해를 차단하는 쪽으로 활용되었다. <안빙몽유록>은 작자 신광한의 만년 작으로, 원형리 은거 시절에 자신은 정치에 대한 욕망이 전혀 없었음을 이야기하려는 목적으로 창작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 목적을 위해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면, 그 자체가 정치에 대한 관심이자 정치적 욕망의 증거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조정의 혼란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대신 그것을 암시하는 선에서 그친 후 곧바로 그 증거를 없애야만 했다. <안빙몽유록>의 서사가 모호하게 느껴졌던 것은 이 때문이다.의 주인공 안빙은 과거에 낙방했지만 날마다 즐겁게 정원을 소요하는 인물로, 어느 날 홰나무를 보고는 괴안국 이야기가 떠올랐고, 이어 꿈을 꾼다. 그의 꿈은 뇌리에 각인된 정원의 구조와 홰나무에서 연상된 괴안국 이야기가 결합된 것일 뿐, 그 밖의 동기는 없다. 안빙의 몽중 세계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꽃이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인데, 그들의 형상화 및 발화・시작은 사물의 속성과 관련된 전고의 연상 작용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부인・반희’는 소인으로, ‘조래선생・수양처사・동리은일’은 은자・군자로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그들 사이의 갈등은 구체화되지 않으며, 독자들은 이것이 정치적 우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 안빙은 각몽 이후 정원을 확인하는바, 이로써 몽중 세계의 일들은 완벽히 설명되므로, 독자들은 더 이상 꿈속의 일을 정치적 우의로 읽을 수 없게 된다. 안빙은 동중서처럼 장막을 내리고 정원을 돌아보지 않으니, 이는 그가 학업에만 전념하였음을 의미한다.
    <안빙몽유록>은 몽유전기와 가전체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의미의 모호함을 가중하고 우의적 독해를 차단하는 쪽으로 활용되었다. <안빙몽유록>은 작자 신광한의 만년 작으로, 원형리 은거 시절에 자신은 정치에 대한 욕망이 전혀 없었음을 이야기하려는 목적으로 창작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 목적을 위해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면, 그 자체가 정치에 대한 관심이자 정치적 욕망의 증거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조정의 혼란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대신 그것을 암시하는 선에서 그친 후 곧바로 그 증거를 없애야만 했다. <안빙몽유록>의 서사가 모호하게 느껴졌던 것은 이 때문이다.

    영어초록

    Anbing, the protagonist of Anbingmong-yurok, is a character who pleasantly strolls the garden every day despite having failed the state examination. He sees a locust tree one day and recalls the story of Goean-guk, following which he has a dream. His dream has no other motive as it is merely a combin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garden carved into his memory and the story of Goean-guk associated with the locust tree.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world in Anbing’s dream are flowers in human form. Their embodiment, and acts of speaking and writing poems do not deviate from the associations stimulated by traditions related to the nature of objects. Therefore, although “Ibuin and Banheui” are perceived to be mean men, and “Joraeseonsaeng, Suyangcheosa, and Dongrieunil” to be hermits and virtuous men, the conflicts among them are not concretized and readers are unable to determine whether this is a political allegory. Anbing’s act of checking the garden after waking up from the dream perfectly explains the events in the dream world. Therefore, readers can no longer read the dream as a political allegory. Anbing, like Dongjungseo, closes the curtains and does not look back at the garden, indicating that he returned to devote himself to his studies.
    Anbingmong-yurok is a combination of Mongyujeon-gi and Gajeonche, which was utilized to increase the ambiguity of meanings and prevent allegorical reading. Anbingmong-yurok was written by the author Sin Gwanghan as one of his later works. It is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with the purpose of demonstrating that he had no political desires during his seclusion in Wonhyoungri. However, i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is directly exposed to such ends, that in itself would be evidence of interest in politics as well as political desire. Therefore, rather than to directly mention the chaos taking place in the royal court at the time, he had to imply it and immediately remove evidence thereof. This is why the narrative of Anbingmong-yurok has felt va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