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갑오척사록』에 나타난 예천 동학농민혁명 고찰 (A Study on the Yeche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ppeared in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3
36P 미리보기
『갑오척사록』에 나타난 예천 동학농민혁명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61호 / 317 ~ 352페이지
    · 저자명 : 한경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갑오척사록』을 통해 갑오년(1894) 경상도 예천지 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과정에서 발생한 구체적인 사실의 기록을 재조명하는 데 있다. 재조명의 구체적인 내용은 기존의 사회질서를 문 란하게 만든 동학농민군을 바라보는 보수집강소의 시선을 통해 신분사 회가 지니고 있었던 모순과 한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농민군과 집강소 의 대치 상황이 전투로 연결되자 농민군이 무참하게 진압된다. 이 사 실을 통해 당시 시대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집강소와 농민군의 대치과정과 격전의 상 황을 정리하면 첫째, 최맹순이 교세를 확장한 과정과 다수의 농민이 동학에 참여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갑오년(1894) 음력 8월 28일 격전 전후의 내용을 분석하면 농민군이 전투를 적극적으로 준비 하지 않고 집강소와 타협을 이루려 애썼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생매장 사건이 일어나면서 타협의 분위기는 수그러졌으나 격전이 있던 날까지 대화를 위해 노력한 농민군의 자세를 알 수 있다. 전쟁보다는 대화를 통해 사회질서를 회복하고자 한 것은 동학의 가치에 바탕한 것이다. 셋째, 집강소는 수적인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농민군의 통문에 답은 했으나 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았다. 집강소는 농민군을 반란세력으 로 간주해 적극적으로 진압하였다. 집강소의 뛰어난 화력을 농민군은 감당하지 못하고 완전히 패배한다. 농민군을 진압한 뒤 집강소는 명단 을 작성하여 포상을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에서는 시대의 변화를 읽어내고 그 시대를 앞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선구자라고 하지만 농민들은 온몸으로 저항하면서 평등한 세 상을 주장했다. 이들이 처한 환경은 자연재해가 오래되어 흉년이 연속 되고 전염병이 돌고 마을의 지주나 향리들의 가렴주구는 더욱 심각해 졌다. 그럼에도 미래의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던 농민들의 고군분투의 결과는 동학에 가담하고 창의를 한 것이었다. 나아가 농민군의 ‘척왜’ 의 기치는 역사의 주체가 누구인지 정확하게 확인시켜 주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record of the specific fac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at took place in Yecheon, Gyeongsang-do in 1894 through the records of Gao-cheok. The specific content of the re-illumination is to understand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lass society through the gaze of Jipgang-so looking at the peasant army that has disrupted the existing social order. It examines the perception of the times at the time through the process of battles taking place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easant army and the Jipgangso, and the ruthless suppression of the peasant army.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If we summarize the confrontation process and the fierce battle between the Jipgangso and the peasant army, first,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Choi Maeng-soon’s expansion of education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peasant participated in Donghak. Second, if we analyze the contents before and after the fierce batt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asant army tried to reach a compromise with the Jipgangso without actively preparing for battle. The atmosphere of compromise softened as the burial incident took place, but they tried to keep the conversation going until the day of the fierce battle. The desire to restore social order through dialogue rather than war was based on the value of Donghak. Third, Jipgangso responded to the peasant army to make up for its numerical inferiority, but did not make any effort to engage in actual dialogue. The peasant army could not withstand the excellent firepower of Jipgangso and was completely defeated. After suppressing the peasant army, Jipgangso made a list and demanded a rewa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people who read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live ahead of the times were called pioneers, but the peasants protested with their whole body and insisted on an equal world. In their environment, natural disasters have continued for a long time, and famines have continued, epidemics have circulated, and the tyranny of the rich and the village officials has become even more seriou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e struggle of the peasants who did not give up hope for the future confirmed exactly who the subject of history was by participating in Dong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