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A Study on a Paradigm Shift to Archives of everyday lif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7
31P 미리보기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록학연구 / 29호 / 3 ~ 33페이지
    · 저자명 : 곽건홍

    초록

    우리 사회는 각 분야에서 아카이브 문화가 뿌리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과 함께 아카이브 소장 기록 또한 매우 편향적으로 파편화되어 있다. 당대사를 표상하는 기록은 존재하지 않거나, 있다하더라도 극히 일부만 남아 있을 뿐이다. 또한 아카이브에 소장된 기록은 보통사람들의 삶의 기록은 거의 없다. 아울러 아카이브가 누구를 위해 존재해야 하며, 어떻게 아카이브 문화를 창출해 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도 없다. 따라서 ‘보통의 시민들’의 삶과 직결된 아카이브를 만들어 가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일상 아카이브란 ‘보통사람들의 일상을 미세한 영역으로 범주화하며, 개인(집단)의 행위와 경험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해 개인(집단)의 일상적 삶을 기록화 하는 것은 물론 인문적 관점에서 기록을 수집·평가·선별하여 보존하는 조직 또는 이를 위한 시설·장소’를 의미한다. 일상 아카이브에 대한 논의는 한국근현대사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보통사람들의 행위와 고통’에 대한 기억과 기록을 재현해 하는 작업이며, 이를 바탕으로 자본주의적 일상성 속에 숨겨진 억압적 구조를 밝혀내는 것이다.
    기록공동체는 권위주의시대와 대비되는 민주주의시대 기록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논의해야 한다. 또 보통사람들의 관점에서 어떤 기록을 생산해야 하는지, 어떤 기록을 선별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지향을 갖고 있어야 한다. 기록과 아카이브 내용을 문제 삼음으로써 민주주의시대의 시대정신을 창출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해가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기록공동체가 민주주의시대를 한 걸음 앞당기는 데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아카이브 성격의 변화를 추동하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No one can deny the harsh reality that archival culture has not yet been permeated extensively into all the spheres of our society. Only fragmented records in fixed areas are in the custody of archives. Records to build a living memory for the history of our present are hard to find or remain minimal, if anywhere. Above all, there are few records in archives concerned with the everyday life of common people. No consideration has not been made about the reason for being of archives, not to mention of the strategy for establishing the archival culture. Accordingly,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for archive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veryday life of common people.
    Archives of everyday life means one which interprets the behaviour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groups) within the context of society through categorizing everyday life of common people into the lesser fields. And archives of everyday life also means an organization or facility/place which documents the everyday life of individuals(groups), and collect, appraise, select and preserve the records from the view point of humanities for the reconstruction of history from the bottom. Archives of everyday life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memory and records on behaviour by and torment of the common people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on the basis of which we can seek out the oppressive structure in the daily life of capitalism.
    Archival community should discuss about what is the meaning of records in the age of democracy unlike that of authoritarian era. We also need to have definite direction on the what kinds of records are to be created and appraised from the standpoint of common people. We are to make it possible to create Zeitgeist in the tackle of records and archives’ content. on this kind of attempt archival community could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forward a more advanced democracy, resulted in having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essence of arch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록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