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사의 非營利的 出捐의 허용기준 - 강원랜드사건을 소재로- (The Requirements of the Corporate Expenditure for Non-profit Purpos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1
24P 미리보기
회사의 非營利的 出捐의 허용기준 - 강원랜드사건을 소재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무부
    · 수록지 정보 : 선진상사법률연구 / 89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이철송

    초록

    회사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지만(상법 제169조), 사회로부터 비영리적인 목적에 출연하도록 강요받기도 하고, 때로는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같은 행동을 하기도 한다. 영리법인이 비영리적인 목적에 재산을 사용하는 것은 일응 그 설립목적을 벗어나므로 그 사용을 위한 의사결정에 가담하거나 행동에 옮긴 자의 책임을 묻는 쟁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일단은 그 출연행위를 반규범적인 행동으로 분류하고, 무엇인가 반규범성을 제거할 수 있는 불가피성 내지는 정당화사유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법논리적인 접근방법이다. 이러한 불가피성 내지는 정당화사유를 이 글에서는 「비영리적출연의 허용요건」이라 표현하였는데, 이것이 司法的 判斷의 대상이 된 경우에는 비영리적출연의 정당성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오래전부터 회사의 영리일변도의 행동을 견제하며 공익우선의 경영이나 사회에 대한 무상의 기여를 강조하는 이른바 「기업의 社會的 責任」이라는 이론이 제시되어 왔고, 이 이론은 개념적으로는 회사의 비영리적출연의 上位의 주제라고 할 수 있으므로 회사법학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에 의해 비영리적 출연을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필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명제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해 왔다. 그리고 회사의 비영리적 출연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되, 그 정당성은 長期的 營利性에서 찾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최근 회사의 비영리적 출연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대법원판례가 나온 바 있다.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6다260455 판결(손해배상(기),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6. 9. 23. 선고 2015나2046254 판결)이다. 이는 회사의 비영리적 출연의 허용기준을 다룬 최초의 판례로서 매우 의의가 크고, 앞으로 이 주제의 연구에 한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고 생각되므로 이 글에서 그 사실관계와 판례가 제시하는 이론을 소개하였다.

    영어초록

    The legal nature of company is defined as a profit-seeking organization, so naturally the law requires a company to spend its assets solely for profit-seeking activity. However, companies are often forced by societal pressures to contribute their money for non-profit purposes and, sometimes, they also do this for their own motives. Such contributions for any non-profit purpose may cause a legal dispute about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the directors who excute such contribution or approve a decision to contribute. In a real life situation where some directors are sued for their legal responsibility of using corporate assets for a non-profit purpose, the debate between the quarrelling parties will be focused on whether that expenditure can be legally justified.
    The author discussed this issue in an article entitled “the Requirement of the Corporate Expenditure of Non-profit Purpose.” Long ago, a corporate legal theory referred to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ppeared to control the extreme tendency of corporate profit seeking and led companies to contribute for the common social good. Non-profit contributions have often been justified as corporations’ performaning their social resonsibility. As the author does not recognize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under any cororate legal tradition, he has been trying to find the legal ground that justifies the non=profit contribution as part of a long-term befit strategy that benefit the company.
    In May 2019, the Supreme Court released a ruling that discussed the responsibility of directors who approved donation of corporate assets to a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stimulizing that province’s economy, from the view of long-term benefit of companies. (But the Court ruled that the donation in question was not contributable to the company’s long-range benefit) Since this ruling is thought to be a leading opinion in the dispute for the legitimacy of corporate contribu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is ruling from the view of a suppor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진상사법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