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6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0.03
66P 미리보기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9호 / 1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승환

    초록

    이 글에서는 주자가 육상산과 대립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수양론’의 각도에서 규명해보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상산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현행하는 의식의 흐름에서 일체의 ‘의념’(意念)을 제거하려는 상산의 ‘박락’(剝落) 공부는 심지어 ‘바른 의념’(正念)이나 ‘선한 의념’(善念)까지도 제거함으로 말미암아 유교적 실천공부의 핵심인 ‘택선고집’(擇善固執)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런 점에서 상산의 극단적인 ‘박락’ 공부는 “목욕물을 버리면서 아기까지 함께 버리는 우”를 범하고 있다. 둘째, 일체의 인지적 탐구나 지성적 통찰을 거부한 채 오롯이 정좌하여 내면으로만 주의를 집중하는 상산의 ‘내관’(內觀) 공부는 마음속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심리적 환상이나 환시를 마치 진리를 깨달은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산의 ‘주정’(主靜) 공부는 인격의 함양에 도움이 되기보다 오히려 ‘마음의 병’(心病)을 야기할 수도 있다. 셋째, 인지적 탐구와 지성적 통찰을 거부하고 심지어 합리적 대화와 토론마저도 외면하는 상산의 교학방법은 사태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결여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주자는 상산식 수양론에서 최종적으로 도출되는 결과를 ‘눈금 없는 저울’(無星之稱) 또는 ‘눈금 없는 잣대’(無寸之尺)에 비유한다. 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은 인지적 탐구와 지성적 통찰을 거부한 채 면벽ㆍ좌선하여 ‘고요함’(寂)에 몰입하려는 현대의 적지 않은 수행자들에게도 유효한 양약으로 작용할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famous Neo-confucian thinker, Zhu Xi came into conflict with another notorious Confucian scholar, Lu Xiang-shan, from the viewpoint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Zhu Xi’s critique on Xiang-sh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of all, Xiang-shan’s theory that emphasizes eliminating the whole of intentions from human mind, not only disables Confucian every day practice, such as “Choosing the Good, and holding it steadfastly” as noted in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but also commits the error of throwing the baby out with bath water. Secondly, Xiang-sh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which emphasizes quiet-sitting and sudden enlightenment without regard to intellectual inquiry and rational investigation, misleads the practitioners into mysterious illusion and unfounded hallucination as if these are the manifestation of li(Truth). Thirdly, Xiang-shan’s pedagogy that refuses rational debate and inter-subjective argumentation yields the absence of objective criteria by which one can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and good from bad. Zhu Xi calls this kind of awkward consequence caused by Xiang-sh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a weighing beam without notchmark’ or ‘a yardstick without graduations.’ After all, Zhu Xi’s critique on Xiang-sh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can also function as a philosophical remedy for the contemporary practitioners who mystically indulge into quiet-sitting and meditation without regard to intellectual investigation and inter-subjective dia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