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집행선고의 실효로 인한 가지급물 반환의무의 준거법 (The Law Applicable to Obligations to Return Provisional Payments Resulting from Termination of Declaration of Provisional Execu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02
39P 미리보기
가집행선고의 실효로 인한 가지급물 반환의무의 준거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1권 / 507 ~ 545페이지
    · 저자명 : 석광현

    초록

    선박건조회사의 요청에 따라 보험회사인 피고는 발주자에게 선수금환급보증서를 발행하 였고 이는 선박건조금융을 제공한 원고들에게 양도되었다. 원고들은 피고가 발행한 선수금환 급보증에 따른 선수금의 지급과 그에 대하여 특례법에 따른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하였다.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법정이율에 관한 특례법(제3조 제1항)은 비록 소송촉진을 목적으로 소송절차에 의한 권리구제와 관련하여 적용되지만 절차법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라고만 볼 수는 없고 그 실질은 금전채무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범위를 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래채권의 준거법이 영국법인 이 사건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지연 손해금은 실체의 문제임을 부정할 수 없지만 위 조문에서는 한국 법원에 계속중인 소송절차 를 신속하게 하려는 사법정책적 고려가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법정지가 한국이라면 채 권의 준거법에 관계없이 적용된다고 본다. 원고들은 제1심판결에서 전부 승소하였고 판결에는 가집행이 붙었다. 피고는 강제집행을 피하고자 원고들에게 가지급금을 지급하였다. 피고는 항소하면서 가지급물반환신청을 하였 다. 항소심에서 제1심판결이 일부취소되고 가집행선고가 일부실효됨에 따라 원고들은 가지 급금의 일부를 피고에게 반환하게 되었는데 그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이율이 쟁점이 되었다. 원고들은 선수금환급보증의 준거법이 영국법이므로 국제사법 제31조 단서의 ‘종속적 연결원 칙’에 따라 부당이득의 준거법이 영국법이라며 그에 따른 저율(당시 8%)이 적용된다고 주장 하였으나, 대상판결은 한국법(특례법)에 따른 고율(당시 20%)을 적용하였다. 대상판결의 근 거는, 원고들의 반환의무는 민사소송법이 인정한 법정채무이므로 국제사법 제31조 단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상판결이 국제사법 제31조 단서의 적용 여부를 논의한 것은 국제사법의 적용을 전제로 하므로 가지급물 반환의무를 실체로 성질결정하였다고 볼 여지도 있다. 그러나 필자는, 대상판결이 국제사법(제31조)을 적용하여 부당이득의 준거법을 판단하 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한국법을 적용한 것은, 가지급금반환의무를 절차로 성질결정 하고 이른바 법정지법원칙을 적용한 때문이라고 이해한다. 피고가 가지급금의 반환을 신청하면서 지연손해금을 특례법에 따라 산정해야 한다고 주장 한 데 대하여 원고들은 영국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대법원은 지연손해금에 대해 특례법의 적용을 긍정하였는데 이는 아마도 절차로 성질결정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첫째 논점에서 선급금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실체로 보아 특례법의 적용을 배척한 대법원이 가지급물반환의무의 지연손해금을 절차로 파악하여 특례법을 적용한 것은 일관성이 없다.

    영어초록

    At the request of a shipbuilding company, an insurance company (“Defendant”) issued a refund guarantee of advance payment in favor of the buyer, which was later assigned to the financing institutions (“Plaintiffs”) that provided the shipbuilding finance. The Plaintiffs filed a suit against the Defendant seeking the return of advance payment pursuant to the refund guarantee and default interest thereon calculated at the rate set forth by the “Special Act on Acceleration of Litigation, etc.” (“Special Act”).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Special Act on statutory interest rate cannot be characterized only as a matter of procedure, even though it is applied in relation to remedies through litigations in order to expedite litigations. Since the purpose of the Special Act is to set the extent of damages resulting from failure to duly perform monetary obligations,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Special Act was not applicable to the present case which centered around an obligation governed by English law. However, even though the author acknowledges that the default interest accruing from late payment is a matter of substance, the author still believes that the Special Act should be applicable to the case at hand as the law of the forum, since the Special Act’s purpose of promoting judicial economy is more important. The Plaintiffs won the case in its entirety at the first instance, and the court of first instance’s judgement included a declaration of provisional execution. In order to avoid compulsory execution of the judgment, the Defendant made a provisional payment according to the judgment. The Defendant later filed an appeal and applied for the return of the provisional payment. At the second instance, the Plaintiffs were required to return the provisional payment, since part of the judgment of the first instance was repealed and the declaration of provisional execution was partly invalidated. The interest rate applicable to the provisional payment to be returned became the issue. The Plaintiffs argued that English law applicable to the refund guarantee should also be applicable to the unjust enrichment pursuant to the accessory connecting principle under the proviso of Article 31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PILA”). Under this view, the interest rate would be 8%. However,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Special Act was applicable to the case and applied the higher interest rate of 20% under the Special Act. The Supreme Court’s rationale was that the proviso of Article 31 of the PILA was not applicable to the Plaintiffs’ obligation to return the provisional payment, since such obligation is a statutory one prescribed by the Civil Procedure Act. The fact that the Supreme Court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o of Article 31 of the PILA could be interpreted as an indication that the Supreme Court characterized the obligation to return provisional payment as a matter of substance.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fact that the Supreme Court applied Korean law directly without first applying the PILA in order to determine the law applicable to unjust enrichment indicates that the Supreme Court characterized the obligation as a matter of procedure and therefore applied Korean law as the law of the forum according to the so-called “lex fori principle”. While applying for the return of the provisional payment, the Defendant argued that the default interest should be calculated at the rate set forth by the Special Act, whereas the Plaintiffs argued that the rate under English law should be applied. The Supreme Court applied the interest rate under the Special Act.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Supreme Court regarded the default interest resulting from the late payment of the return of the provisional payment as a matter of procedure.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Supreme Court’s conclusion on this point is inconsistent with the holding of the Supreme Court on the first issue, namely, that the default interest resulting from the late payment of advance payment is a matter of sub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