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자료로 본 比利辟中布彌支半古四邑 (BiriByeokjungPomijibangosa town seen from Written docun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3.03
20P 미리보기
문헌자료로 본 比利辟中布彌支半古四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9호 / 110 ~ 129페이지
    · 저자명 : 정재윤

    초록

    본고는 『日本書紀』 神功紀 49년조에 보이는 比利피中布彌支半古四邑에 대하여 고찰한 논문이다. 이들 지역의 위치와 지리적 성격, 그리고 근초고왕대 이들 지역에 대한 정벌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먼저 神功紀 49년조 기사는 『日本書紀』 찬자의 관점이 섞여 있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과 구별하였다. 이는 근초고왕의 마한 정벌기사로, 백제의 입장에서 정벌의 단계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면에서 比利피中布彌支半古四邑의 항복 기사는 근초고왕 마한 정벌의 실체를 밝혀줄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었다. 이들 지역의 위치 비정은 4읍설과 5읍설이 있으나 ``支半``과 ``古四``가 각각의 지명 비정에 걸림돌이 됨으로써 확정할 수는 없었다. 다만 두 견해 모두 이들 지역을 전북 일대로 비정할 수 있는 점에서 이 기사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이들 지역은 근초고왕이 전남 일대의 마한 세력을 정벌한 것과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백제의 근초고왕이 親征하자 比利피中布彌支半古四邑이 항복하였다. 이들 지역은 읍으로 표기되었다는 점에서 이미 백제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고, 근초고왕의 친정 때 백제의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백제가 전북 일원으로 진출한 것을 보여주는 기사이며, 백제 중심으로 수정할 때 정벌의 1단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고부 지역은『翰苑』에 고부의 옛 세력인 狗素國을 포함시킬 정도로 마한 정벌의 한 획을 긋는 장소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부가 백제의 중방이 되는 것도 마한 세력의 통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神功紀 기사를 백제 중심의 정벌로 상치한다면 침彌多禮에 이른 것은 2단계로 수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백제는 해안가 거점 중심으로 진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왕이 친정한 것이 아니라 木羅斤資라는 장수를 보내 이 지역을 확보하였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무엇보다 ``南蠻``이라는 표기 자체는 1단계 지역을 ``邑``으로 표기한 것과는 분명하게 차이가 난다. ``屠戮``이라는 표현도 이 지역이 강한 저항을 하였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2단계는 백제의 영향력 하에서 복속한 1단계와 차별성이 있으며, 따라서 시차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가야 7국의 정벌은 사실이라기보다는 백제가 가야·왜와 통교한 사실을 보여주는 기사로 이해하는 것이 온당하다. ``多沙``라는 지명은 繼體紀 23년조에도 등장하기 때문에 후대의 사실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하여 근초고왕 때 남해안에 거점을 확보하고, 가야 지역에 교역로를 확보함으로써 왜와 통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BiriByeokjungPomijibangosa Town(比利피中布彌支半古四邑), which was shown in the article for the year 49 in Shingong chronicle(神功紀) in Nihonshok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itions and geographical nature of these regions, as well a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quests of these regions during the rule of King Geunchogo. First of all, since the article for the year 49 in Shingong chronicle(神功紀) contains the point of view of the compiler of Nihonshoki, the article was based on historical facts. This article describes King Geunchogo`s conquests for Mahan power. That is why the stages of the conquests should be reconstructed from Baekje`s point of view. These regions were assumed to be the regions in Jeonbuk and these conquests were not related with King Geunchogo`s conquests for Mahan power in Jeonnam regions. Next, when King Geunchogo of Baekje led a conquest, BiriByeokjungPomijibangosa Town surrendered. Given that these regions were indicated as Towns, these regions are considered to have been already under the area of influence of Baekje, and were also included in Baekje`s territory when King Geunchogo led the conquest. This is an article that shows Baekje`s advancement into the Jeonbuk regions. This advancement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stage of the conquests when the article was revised to be focused on Baekje. If the article in Shingong chronicle(神功紀) is considered to be describing the conquests led by Baekje, then the arrival at Chimmitarye(침彌多禮) can be revised to the second stage of the conquests. The second stag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one in the sense that the regions under Baekje`s area of influence were subjugated. Also, the second stage is different in time from the first stage because it shows that Baekje seized Jeonnam regions centering on strong points in coasts. Finally, the article regarding the conquests of the seven Gaya na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indicates the fact that Baekje entered into trade with Gaya and Japan, rather than describes facts. During the period of King Geunchogo, Baekje secured strong points in the southern coast and secured trade routes in Gaya regions to prepare the footholds for trade with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