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주공화국과 정당해산제도 -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를 소재로 -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n a Democratic Republic: the Case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in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4.02
32P 미리보기
민주공화국과 정당해산제도 -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를 소재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5권 / 1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철

    초록

    이 글은 우리 헌법의 핵심가치인 민주공화국 원리의 구체적 의미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매개로 확인하고, 이 토대 위에서 헌법상 정당해산제도가 이해되고 적용되어야 함을 논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우선 필자는 정당해산제도의 본질이 법적 심판제도이며, 다원적 민주주의에 기초한 최후적이고 보충적 헌법보장제도임을 주장한다. 특히 바로 이러한 최후적·보충적 성격 때문에 제소나 해산결정이 신중해야 하며, 그 실체적 요건은 엄격히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런 전제하에 필자는 정당해산제도에 관하여 특히 다음 세 가지 헌법규범적 의미를 논증한다. 첫째로 정당해산의 요건인 민주적 기본질서는 헌법 전문과 제4조상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같은 의미이며, 정치적 자유주의에 기초한 민주주의 원칙과 제도의 총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경제적 자유주의가 정당해산의 사유로 인정되기 보다는 정치적 자유주의에 기초하여 정당해산요건으로서의 민주적 기본질서가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로 정당해산요건은 1950년대 독일연방헌재가 수립한 요건을 현대민주주의의 발전과 우리 헌정사적 경험에 따라 정당보호의 차원을 충분히 고려하여 엄격하게 해석 및 적용하여야 한다. 특히 독일연방헌재의 독일공산당 등에 대한 해산결정은 민주적 선거로 집권한 나찌에 의해 자행된 것이라는 제2차대전 전범국으로서의 헌정사적 특징과 전후 국제질서를 규정짓던 냉전체제의 산물이라는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특히 베니스위원회의 정당해산지침과 규약으로 대표되는 현대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초한 정당해산에 관한 국제기준의 발전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로 베니스위원회의 정당해산지침과 규약에 의거하여 정당해산의 실체적 요건으로는 폭력을 공공연히 표방하거나 실제로 폭력을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정당만이 해산의 대상이 되며, 전체로서의 정당이 심판대상이이어야 하고, 목적이나 활동에 실제적 위험이 존재해야 하며, 비례원칙을 준수하여야 하며, 예외적 조치로서의 한계에 따라 엄격한 요건하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2013년 11월 5일 제소된 통진당사건에 이러한 원칙을 적용할 경우, 구체적 사실관계가 증명되어야 하는 한계를 감안하더라도, 제소주체인 정부가 성실한 판단의무를 준수하지 못하였고, 정당해산심판에 필요한 실체적 요건도 준수한 것으로 보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무엇보다 정당을 정치과정의 자정작용을 사상한 채 해산시키려는 것은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민주주의를 억압한 유신독재의 망령이 되살아났다는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하므로 앞으로 헌재의 현명한 판단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based upon Article 8(4) of Korean Constitution and to elaborate elements required to dissolve a political party by the Constitution.
    The author attempts to argue that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n a democratic republic must be judged in terms of legal bases rather than political reasons, and although it is a kind of preventive institution to cope with the enemies of democracy, it must be called upon as a last resort.
    The author further argues three constitutional implications underlying constitutional articulation regarding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n terms of protection of political parties as well as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al system. First, the violation of “democratic basic order” as the only constitutional element of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must be constru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to the “free and democratic basic order” included in the Preamble and Article 4 of the Constitution so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special focus on the maximization of political freedom of individual citizens and parties. Second, in setting out concrete constitutional rules,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elaborated b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in 1950s when the Cold War and anti-Facist sentiments haunted in German society should be corr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t-cold war development of modern democracy and the particular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in favor of protection of political parties. Third, given that,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must comply with the strict requirements derived from the rule of law like the rule of proportionality.
    Finally, although the author acknowledges the lack of factual evidence becaus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and relevant judicial cases are still on pending when this article is in the final stage, the strict application of constitutional rules to the case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seems to show that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was in hasty to bring the case b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without sufficient necessity and propor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