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RPS 창작 문화로 보는 팬덤 참여 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Fandom Participatory Culture in RPS creative culture.)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1.09
49P 미리보기
RPS 창작 문화로 보는 팬덤 참여 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6권 / 3호 / 47 ~ 95페이지
    · 저자명 : 조이진

    초록

    이 연구는 국내 아이돌 팬덤의 팬픽 문화 변화 양상과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용어의 전환 및 변화는 시대적 맥락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 보고 팬픽 문화가 RPS(Real Person Slash)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관찰할 수 있는 팬덤 문화의 변화를 쫓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젠킨스(Jenkins)를 비롯한 서구의 여러 학자들은 팬픽을 팬덤의 능동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실천으로 규정하였고 팬들은 ‘텍스트 밀렵꾼(Textual Poacher)’으로서 대중문화의 여백을 채우고자 노력하는 존재였다. 한국에서는 일본의 야오이 및 BL 문화의 영향으로 팬픽 문화가 성장했고 최근에는 영·미 팬덤 문화와도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한국의 RPS 문화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팬덤 창작 문화는 단순히 타국가의 문화를 수용만 한 것이 아니라 문화의 혼종성을 드러낼 수 있는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영·미권에서 동성애 팬픽만을 지칭했던 RPS 용어가 한국에서는 이성애 등 팬덤 문화의 다양한 관계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로 자리 잡은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미디어의 발달이라는 초국가적 흐름과 한국 내에서의 페미니즘 리부트, 대중문화 내 호모소셜 코드 유행 등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맥락이 팬덤 참여 문화에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을 연구로 밝히며 팬덤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Fanatic culture of Korean idol fandom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term change which is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times, the goal is to observe changes in fandom culture from the fanfic culture to RPS(Real Person Slash) culture. Jenkins and other Western scholars define fan fiction as an active fandom practice, and fans are trying to fill the gaps in popular culture as ‘Textual Poachers’. In Korea, the fanfic culture has grown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s Yaoi and BL culture, and recently RPS culture in Korea has been interacting with the English-American series fandom culture. Fandom creation culture in Korea has not only embraced the culture of other countries, but also expanded into an area where cultural hybridity can be revealed. The fact that the RPS term, which only referred to homosexual fanfic in English and the U.S., has been changed in Korea as a word that can express various relationships in Fandom culture such as heterosexuality.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meaning of fandom research by showing that complex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uch as transnational trends of media development, feminist reboots and the prevalence of homosocial codes of popular culture in Korea influence Fandom Participatory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