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야 로만글라스와 진식대금구 유입 시기와 교역로 연구 (A Research on the infall period and trade route of Roman glass and gilt belt ornaments of Gay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11
40P 미리보기
가야 로만글라스와 진식대금구 유입 시기와 교역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5호 / 85 ~ 124페이지
    · 저자명 : 박광춘, 김다빈

    초록

    가야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증가함에 따라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대외교류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이 부장품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최근 발굴 조사된 김해 대성동고분군에서는 로만글라스와 진식대금구가 금관가야 최상층 지배자 무덤인 대형 목곽묘에서 출토하여 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과거 로만글라스는 5세기에 축조된 신라왕들의 무덤인 대형 적석목곽묘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가장 이른 로만글라스는 4세기 말로 편년되는 경주 월성로 가-13호분 출토품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김해에서 로만글라스가 출토한 대성동 91호분과 70호분은 토기편년에 의하면 약 A.D. 300년 전후로 편년되기 때문에 신라의 로만글라스보다 대략 1세기 정도의 시간차를 보인다.
    로만글라스와 더불어 중국에서 최상층 계급이 사용한 진식대금구는 대성동 88호분과 70호분에서 출토되었다. 진식대금구는 中國 江蘇省 宜興 周處墓 출토품을 가장 이른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처묘의 피장자인 주처장군의 몰년이 A.D. 297년으로 알려져 있어 대성동고분군 출토 진식대금구의 연대를 추정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다. 형식 비교 결과 대성동고분군 출토 진식대금구는 宜興 周處墓, 洛陽 西郊 24號 등 중원계 진식대금구와 형식학적으로 유사도가 높고, 종래 북연의 喇麻洞 출토품은 유사도가 적기 때문에 유입 시기를 토기 편년과 일치하는 A.D. 300년 전후로 설정할 수 있다.
    종래 로만글라스의 무역로는 실크로드 중 오아시스길이나 초원의 스텝로드를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진식대금구 역시 중국의 남방지역에서 성행하여 북방과 고구려를 거쳐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남방 특산물을 戰國時代부터 널리 애용하게 되면서 해상 무역로가 일찍부터 열리게 되었으며, 漢代에 와서 남방 교역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漢書』에 기록된다. 또 『後漢書』 「西域傳 大秦國(로마)條」에서 로마인의 무역 활동이 잘 그려져 있어, 지금의 동남아시아·인도지역과 적극적으로 교역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대성동 91호분에서는 로만글라스 외에 日本 琉球産 고호우라 조개로 장식한 마구가 출토되고 있어 남방 무역 범위가 상당히 넓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금관가야에 로만글라스와 진식대금구가 유입되는 A.D. 300년 전후는 말레이반도에서 베트남 남부에 이르는 넓은 교역로를 장악한 扶南國이 득세한 시기이다. 부남국의 외항인 베트남 옥애오 유적에서는 2세기경의 로마 금화와 漢鏡이 출토되었다. 부남국은 중국·인도와 중계무역을 통해 대국으로 성장하게 되었으며, 로만글라스를 중국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량의 철을 이용해 가야 최상층 지배자는 로만글라스와 진식대금구와 같은 위세품을 중국과의 해상교역을 통해 입수할 수 있었을 것이다. 덕분에 신라보다 약 1세기 정도 앞서 로만글라스가 유입되었을 것이다. 가야와 중국 간의 무역항로는 계절에 따라 바뀌는 서해의 해류를 이용하여 바다를 가로질러 갔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마산 현동유적에서는 舟形土器가 출토되었는데 원거리 항해가 가능한 대형 범선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도 하나의 증거이다.

    영어초록

    Excavations regarding Gaya historic sites have been risen and it seems true that international relationships of Geumgwan Gaya were on the highest level during that period, according to the burial objects. Recent discoveries of Roman glass and gilt belt ornaments found from the royal tombs of Geumgwan Gaya in Daeseong-dong Tomb sites, Gimhae surprised the entire academic world. Roman glass, normally excavated from 5th century Silla King Tombs(tomb with coffin mounted by stone), in the meantime, is also found from Ga-13 tomb of Gyeong-ju Wolseongri which is late 4th century. However, the glass found from Daeseong-dong Tomb sites(No.91, and No.70) are categorized around AD300 years which brings the history of Roman glass up to 1st century earlier than Silla’s glass.
    Along with glass, gilt belt ornaments that was mainly used by top class of China have been found from 88 tombs and 70 tombs of Daeseong-dong. Usually the earliest belt ornaments belong to Jucheo Tomb, Eoheong, Gangsoseong China and the deceased of the tomb who is General Jucheo died in AD 297 which could draw the era of Gaya belt ornaments. As a result of type comparisons, the ornaments of Gaya are quite similar to the Jucheo and Segyeo 24 tombs which belong to cetral China but it shows least similarity with Ramadong burial goods of North Yeon which concluded infall period of belt ornaments as AD 300 with the pottery. Trade route of Raman glass had to be believed to use Oasis of Silk road or grass step road. It is believed that belt ornaments had been popular in southern area China and then passed to Korea peninsula through north China and Goguryeo.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the traditional speciality were broadly accepted which brought early open of marine trade route and this was recorded on the 『Han History』. Detailed information about Roman people’s trade was found in Article ‘Roman’, 「Western China Record」 『Late Han Hisotry』 and so it is presumed that active trades with east-southern Asia and India was prevalent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horse ornaments decorated with Strombus latissimus from Ryugu Japan were found from No.91 tomb in Daeseong-dong, so the range of southern trade was believed to be broad.
    Bunamguk which was dominated from current Malaysia and South Vietnam was on the rise during AD 300, and this was proved by the Roman gold coins and mirrors of Han Dynasty of 2nd century from Okeo site Vietnam where was outer port of Bunamguk. Bunamguk, therefore, see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bring Roman glass to China with great power of trade with China and India. At the same time, Gaya with amounts of iron seem to have Roman glass and belt ornaments through the marine trade with China and so Gaya was able to hold Roman glass one century earlier than Silla. The trade route between Gaya and China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western sea which was affected by the season. This was supported by the ship-shaped pottery that was modelled of large sail boat, discovered from Hyeong-dong site last y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