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설로 본 조선시대 宗廟와 永寧殿의 변화 (The Dynastic Shrine of Joseon - Described in Annotated pictures(圖說), and Examination of changes happened to Yeong’nyeong-jeon(永寧殿)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12
20P 미리보기
도설로 본 조선시대 宗廟와 永寧殿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지도연구 / 7권 / 2호 / 5 ~ 24페이지
    · 저자명 : 이현진

    초록

    종묘는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왕실의 사당으로, 태묘라고도 한다. 전통시대 종묘는 유교 문화가 고스란히 농축된 곳이었다. ‘효’와 ‘충’, ‘예’와 ‘악’을 강조하는 유교 문화권에서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 바로 종묘였다. 조선의 종묘는 『예기』에 ‘제후는 오묘를 세운다’라는 규정과 『주례』에 ‘오른쪽에 사직, 왼쪽에 종묘를 세운다’는 규정에 따라 지었다. 전자는 조선과 같은 제후국은 나라를 건국한 태조와 현 국왕의 4대조까지 다섯 임금을 종묘에 모실 수 있다는 뜻이고, 후자는 법궁(法宮)인 경복궁을 중심으로 왼쪽에 종묘를 건립한다는 의미였다.
    태조대 종묘를 처음 건립했을 때 종묘 내 담장 안에는 종묘 정전 7칸이 있었다. 이후 명종대에 4칸을 더 증축해 종묘 정전은 11칸이 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종묘가 불타 중건(重建)을 하는데 정전은 예전 그대로 11칸으로 중건했다. 그 뒤 영조 대에 4칸 더 증수하여 15칸이 되었다가 헌종대 4칸 더 증축하여 오늘날과 같이 19칸이 되었다. 좌우 협실은 정전의 증축과 무관하게 처음부터 각각 2칸이 있었다.
    종묘에는 또 그 안에 중요한 건물로 역대 군왕들이 재위에 있을 때 가장 공이 있다고 평가받은 사람들을 모신 공신당과 궁중의 낮은 신을 모신 칠사당이 있다.
    한편, 종묘 이외에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으로 영녕전이 있었다. 이곳은 세종대에 태조의 추존 4대조를 봉안하기 위해 건립되었고, 추존 4대조는 목조・익조・도조・환조이다. 이 때문에 정전이 4칸이었다. 협실은 좌우 각 2칸이었다. 이후 영녕전은 종묘 정전에서 4대가 지나 친진이 된 신주를 옮겨와 봉안하는 사당이 되었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종묘 정전이 불타면서 영녕전도 함께 소실되었다. 중건할 때 영녕전은 좌우 협실 각 3칸으로 기존 2칸에서 1칸 더 증축했다. 이후 현종대 좌우 협실을 1칸 더 증수하여 정전 4칸, 좌우 협실 각 4칸이 되었다. 다시 헌종대에 좌우 협실 2칸을 더 증축해 현재 남아 있는 것처럼 정전 4칸, 좌우 협실 각 6칸이 되었다.
    그 밖에 종묘와 영녕전에는 부속 건물로 악공청, 수복방, 전사청, 찬막단, 제정, 성생판, 재궁, 망묘루, 향대청 등이 있었다.

    영어초록

    “Jong’myo” is the shrine of a dynasty’s Royal family, where the tablets of deceased kings and queens were enshrined, and memorial services for them were held. It was also called “Tae’myo(太廟)” in the past. Dynastic shrines of the premodern periods were where the essence of Confucian culture was kept. All the values revered in Confucian culture, filial piety and loyal obligation, as well as protocols and music, were all observed and abided by, in the operation of these shrines.
    The Dynastic shrine of Joseon was constructed, based upon Ye’gi(禮記)’s notion of ‘Vassal state observing Five chambers[五廟],’ and upon Ju’rye(周禮)’s instruction to create a “Sajik(Spirits of land and grains) space on the right and a dynastic shrine on the left.” The former allowed Joseon [as any other ‘vassal state’] to enshrine the tablets of the founder king and his ancestors representing four generations before him, while the latter dictated that the Joseon royal family should build a dynastic shrine to the left of the main palace Gyeongbok-gung.
    When King Taejo first established the Dynastic Shrine, inside the walls there was a 7-sectioned(chambers) Main hall(正殿). Later during King Myeongjong’s reign, 4 sections were added. Due to the war with Japan in the 1590s that left the shrine in ruins, later it was reconstructed with a 11-sectioned(chambers) main hall. Then, decades later King Yeongjo ordered addition of 4 more sections. And after Heonjong added 4 sections, again, the Main hall became a 19-sectioned structure.
    Other than the Dynastic shrine, there was a Yeong’nyeong-jeon(永寧殿) hall where tablets of past kings and queens were enshrined, and services were held. This hall was constructed during king Sejong’s reign in order to commemorate founder king Taejo’s four ancestors, who were named Mokjo(穆祖)・Ikjo(翼祖)・Dojo (度祖) and Hwanjo(桓祖). Other than the original number of sections(chambers) inside the main hall, which was four, 4 flank chambers(夾室) were position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Later, Yeong’nyeong-jeon became a facility where tablets, whose term of enshrinement inside the dynastic shrine ‘expired’[親盡], would be enshrined forever. When the main hall of the dynastic shrine was destroyed due to Japanese invasion in the 1590s, Yeong’nyeong-jeon was incinerated as well. And when it was reconstructed, the number of flank chambers was increased from two to three on both sides. The number of flank chambers on both sides was again changed to four during Hyeonjong’s reign, with 4 chambers of the main hall at the center. During Heonjong’s reign, number of flank chambers jumped again to 6, on both si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지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