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설로 구현된 송구봉의 인물상과 그 의의 (A Study of the Portrait of Song Kubong(宋龜峰) & the Significance of His Legend)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12
47P 미리보기
전설로 구현된 송구봉의 인물상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4권 / 4호 / 709 ~ 755페이지
    · 저자명 : 황인덕

    초록

    이 글은 조선 중기 도학자였던 구봉(龜峰) 송익필(宋翼弼)에 대한 전설을 연구한 것이다. 본고에서 주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이제까지 구봉에 대한 설화 연구가 가해지지 않았음을 유의하여 관련된 전설 각편(version)을 두루 모으고, 이들 자료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2) 구봉 전설의 부류별 양상을 볼 때, 대략 구봉의 인물됨이나 행적 가운데 사실성이 강한 일화 중심의 부류, 이와는 반대되는 허구적 표현이 두드러진 부류,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역사적 위인으로 형상화된 전설 부류, 그리고 시와 관련된 부류로 구분할 수 있다.
    (3) ‘일화류’ 전설에서 부각된 송구봉 인물상은 크게 사실성이 중심을 이룬 것과 허구적 표현이 실현된 것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사실성이 중심을 이룬 것은 구전자료와 문헌자료에 두루 나타나며, 허구적 표현이 강한 것은 구전자료에서 주로 나타난다.
    (4) 구봉 전설에서 허구적이고 과장된 표현의 절정은 현실문제와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는 임진왜란이라는 전쟁과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유형군의 성립과 전승은 구봉전설이 일반 상민층으로 점점 확대되어 나간 것과 궤적을 함께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5) ‘허구적 구봉 전설’의 특징은 구봉이 임란 이후 구전 설화로써 형성된 여러 영웅적 인물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점이다. 임진란에 참여한 바도 없는 그가 이처럼 무비의 영웅으로 표현되고 있음은 그의 타고난 장재(將才)를 바탕으로 하여, 여기에 임진란을 경험한 당시 상민들의 인물을 갈망하는 절박한 소망이 깊이 반영된 결과이다. 이점이 전체 구봉전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역사적 의의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legend of Kubong Song Ikpil(宋翼弼), a Confucius scholar of the 16th-century Joseon Dynasty.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ven with little previous research into the legend of Kubong, relevant versions of the legend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2) These versions can be classified roughly as follows: ones containing episodes featuring a heightened sense of reality, ones enriched with fictional elements, regional ones in which Kubong is depicted as a historical figure, and ones interspersed with poetry.
    (3) In the 'episode-type' versions, Song Kubong is portrayed in two different ways: as a real person and as a fictional character. Reality-oriented versions are found across both oral and written literature, while fictional versions are found only in oral literature.
    (4) The peaks of the fictional and exaggerated narration of the Kubong legend are closely related to harsh realities, specifically,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such a version occurred in parallel with the spread of the Kubong legend among the common people.
    (5) The ‘fictional' versions of the Kubong legend feature the depiction of Kubong as an epic hero. This is a reflection of the consciousness and desperate desires of the common people who experience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is the most remarkable aspec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Kubong leg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