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지역 상생을 위한 캠퍼스 주변지역 문화거리의 이용 특성 및 활성화 방안 -경남 진주시 볼래로 문화거리를 사례로- (The Characteristics of Utilization of Street Spaces around the University Campus - A Case Study of the Jinju Volraero Cultural Street -)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12
15P 미리보기
대학-지역 상생을 위한 캠퍼스 주변지역 문화거리의 이용 특성 및 활성화 방안 -경남 진주시 볼래로 문화거리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경관과 지리 / 30권 / 4호 / 98 ~ 112페이지
    · 저자명 : 허선영, 이종호, 장후은, 김겸섭

    초록

    최근 대학과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을 위해 캠퍼스 주변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학-지자체-지역주민 간의 연계⋅협력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타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간적거점 공간으로서 캠퍼스 주변지역 가로공간에 주목한다. 연구를 위한 사례지역으로는 중소도시이면서 거점국립대학이 소재한 진주시의 경상대학교 주변지역 활성화 사업지구인 볼래로 문화거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가로공간의 이용행태 및 가로공간 특성별 만족도 조사,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이용행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이용계층별로 이용행태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용자 계층 및 이용 행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문화거리 공간조성, 테마설정, 행사 주제 선정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결과, 보행 및 접근편의성 측면에서는 만족도는 높지만, 거리 특색 및 홍보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공간의 특성분석을 위한 주요 요인은 상징성, 심미성, 교류성, 편의성, 문화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분류기준별로 볼래로 문화거리를 진단한 결과 교류성은 높은 데 반해 상징성, 문화성, 편의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징성 및 심미성 측면에서 이용자의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다양한 테마를 선정하기보다는 상징성을 가지는 대표 테마를 선정하여 주변 경관을 고려한 상징적인 조형물 설치, 공간구성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류성 측면에서 편의 증진과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 문화거리 이용목적을 대상으로 한 포토존 동선 조정, 행사공간과 같은 이동 동선 분리가 필요하다. 편의성 측면에서 외부유입 유도를 위한 문화거리 이용자만의 주차공간 확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성 측면에서 축제와 이벤트는 전국적으로 유사한 경우가 많으므로 지역을 대표할 만한 자원을 발굴하고 조사하여 볼래로 문화거리만의 특성이 부여되어 차별화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universities are actively promoting cooperation and cooperation projects with the surrounding regions where the campus is located for win-win develop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eet space around the campus as a social and spatial base space for revitalizing the university campus town. As a case area for the study, the area around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Jinju City, which was recently established in a local small and medium city, was targeted. For the analysis, satisfaction survey by practical usage behavior and street spac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reet, and expert FGI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usage behavior survey, the usage patterns were different for each usage class, which means that the cultural street space creation, theme setting, event theme selection, etc. should be made based on the usage group setting and usage patter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with this, satisfaction was high in terms of walking and access convenience, while satisfaction was evaluated low in terms of street characteristics and publicity. In relat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classified into symbolism, aesthetics, interchangeability, convenience, and culturality. As a result of diagnosing volraero cultural street by classification criteria, exchangeability was evaluated high, whereas symbolism, culturality, and convenience were evaluated lower than similar cases, and aesthetics were evaluated as norma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ach of the five criteria are as follows. In terms of symbolism and aesthetics, it is necessary to select a representative theme rather than a variety of themes through a detailed survey of users, and to install symbolic sculptures that consider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o construct a space. In terms of exchangeabilit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movement of photo zones for the purpose of using Cultural Street and separate movements such as event spaces in order to enhance convenience and increase satisfaction. In terms of convenience, parking spaces only for cultural street users should be secured to induce external inflow. Lastly, in term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festivals and events are often similar across the country, so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research resources that represent the region so that they can be differentiated with unique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관과 지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