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교류 (Koguryo’s Interaction with Central Asia in Koguryo Tomb Murals)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2.12
60P 미리보기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68호 / 137 ~ 196페이지
    · 저자명 : 전호태

    초록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서역문화 요소는 인물, 기물에서 회화기법과 종교 관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평양권 및 집안권 고분벽화에서 고르게 발견되는 서역문화 요소도 있지만 평양권이나 집안권 고분벽화에서만 확인되는 것도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집안권 고분벽화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불교 관련 서역 문화요소이다. 서역인의 형상을 한 승려, 여래, 보살과 천인 등은 고구려가 불교신앙과 문화를 받아들이는 통로로 기존의 북중국길 외에 초원길도 사용했음을 확인시켜준다.
    초원길과 북중국길을 이용한 고구려의 동서교류는 동북아시아에서 고구려의 패자적 지위가 확립된 5세기 전반부터 본격화 한 것으로 보인다. 1세기 이상 지속된 동아시아 4강체제는 고구려가 동서교류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소화하면서 보편성 높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에 좋은 토양을 제공해준 것으로 판단된다.
    6세기 중엽 이후, 고구려의 동서교류가 고분벽화 제재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이 시기로 편년 되는 벽화고분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현실적으로 분석 대상이 거의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벽화 구성이 단순화 하면서 제재 분석이 어려워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651년경 사마르칸드의 소그드왕 와르후만을 방문했던 고구려 사절의 존재로 보아 초원길을 통한 고구려의 동서교류는 7세기 이후에도 계속되었음이 확실하다. 그러나 고구려 사절단의 이러한 활동이 고구려 사회 문화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아직은 미지의 상태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Central Asian elements seen in Koguryo tomb murals range from figures and instruments to painting techniques and religious concepts. Some are distributed evenly to both Pyeongyang and Jian region tomb murals but others are only found in Jian tomb murals. What catches our eyes is Central Asian elements related to Buddhism that are found in significant number in Jian region tomb murals. Monks, Buddha, and Bodhisattvas with Central Asian physiques confirm that Koguryo used steppe road as well as the north China route for adopting Buddhist religion and culture.
    Koguryo’s exchange with the west via the steppe road or north China seem to have took spur from the first half of 5thcentury when Koguryo’s power in northeast Asia was secured. The balance of power that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a century in East Asia seem to have made a good ground for Koguryo’s adopting and digesting foreign culture to recreate a cosmopolitan culture through its exchange with the west.
    It is not clear how Koguryo’s exchange with Central Asia affected tomb mural compositions after mid-6thcentury. On the one hand, the number of mural tomb significantly decrease during this period, limiting sources, but on the other hand, the mural composition became more simppe, making it harder to analyze themes and motifs. Looking at Koguryo delegate who visited Sogdian KingWarhuman in Samarkand in 651 shows that Koguryo’s exchange with the west via steppe road continued after 7thcentury. However, the effects of such foreign affairs on Koguryo’s society and culture are yet to be kn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