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업컨설팅 사례로 본 대학 수업의 개선방향 (Directions to Improve College Instruction Based on Case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3
22P 미리보기
수업컨설팅 사례로 본 대학 수업의 개선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혁신연구 / 30권 / 1호 / 71 ~ 92페이지
    · 저자명 : 이상수, 한우진, 이유나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 수업컨설팅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수업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학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지역, 학생들 만족도, 자료의 통일성 등을 고려하여 16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양적 수업만족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 모두 교수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 하 집단의 경우 수업방법이 낮은 만족도와 중요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업만족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 간 공통점과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공통점으로는 두 집단 모두 수업의 명료성, 풍부한 사례, 수업방법의 다양성, 실습, 적절한 진도 등이 수업에서 만족해한다는 반응이 있었으며 차이점으로는 만족도가 높은 집단은 잘하고 있는 수업에 좀 더 부가적인 수업전략의 개선 즉, 요약정리와 수준별 접근과 같은 개선요구가 있지만, 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수업준비 철저, 수업 일관성 준수, 평가의 사전 공지와 같은 기초적인 수업전략을 준수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양식과 학습양식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에서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으며 학습양식의 경우 협력형 학습양식이 주로 나타나 대학수업도 협력형 수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업구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만족도 상 집단의 경우 다양한 수업방법들이 사용되고 학생들에 대한 학습안내가 관찰되었으며 학생들과 교수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많이 관찰됐지만, 만족도 하 집단의 경우 교수 중심의 설명식 수업이 많았으며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나 학습안내 활동은 잘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두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인 것들로 학생들의 이해도를 진단하는 활동의 부재, 학습속도에 맞지 않는 수업속도, 쉼 없는 수업으로 인한 학생들의 인지적 부하 발생 등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방법, 공감수업, 평가방법, 수업분위기, 체계적인 개선활동 측면에서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수업의 현상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대학수업의 개선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instruction phenomena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llege instruction by analyzing instructional consultation cases. Method: For this, 16 instructional consulting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region, student satisfaction, and uniformity of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instruction satisfaction, the two group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the professor area, and the group under th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teaching metho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ow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of instruction, both groups responded that class clarity, rich examples, diversity in teaching methods, practice, and appropriate progress were satisfactory in the instruction. The difference was that the high-satisfaction group required improvement of additional instructional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low-satisfaction groups were required to observe basic teaching strateg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eaching style and the learning style, similar patterns appeared i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the learning style, the cooperative learning style appeared mainly, and the college class also needed the cooperative learning.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lass composition analysis,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were used in the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and the students and professors were actively interacted. In the low-satisfaction group, instruction-centered explanatory classes were mainly used, and interactions with students and learning guided activitie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rovement plans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s, empathic instruction, evaluation methods, classroom atmosphere, and systematic improvement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혁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