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탐라의 대외교류 (Tamra's foreign exchange through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8.02
26P 미리보기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탐라의 대외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8권 / 26 ~ 51페이지
    · 저자명 : 김경주

    초록

    기원전 1세기 이후 삼한과의 교섭을 통해 성장한 주호가 3세기쯤 상위계층이 등장하면서 대외교류의 주체인 탐라정치체로 전환되었다. 용담동 철기부장묘는 바로 한반도 남부지역 제소국과의 교역체계에 참여했던 상위계층의존재를 시사하는 것이다.
    탐라는 3세기 후반까지 서남해안의 신미제국을 거점으로 연결되는 교역루트를 통해 마한의 선진문물과 함께 변진한 지역의 철기를 수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즉 3~5세기대 탐라의 거점취락에서 출토되는 마한계 외래토기는당시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서남해안 일대의 정치체와 상호 교류의 증거이다.
    한편 영산강유역의 마한세력은 5세기 후반 동성왕의 무진주 친정으로 축소되고 6세기 전반경 백제가 섬진강유역까지 진출하면서 직접지배 영역으로 포함된다. 이처럼 교역의 거점이었던 서남해안지역 마한세력의 소멸과 백제의 영역확장은 탐라의 교역체계에 큰 위협이 되었고 이로 인해 무령왕 8년(508) 백제와 첫 통교를 하게 된다. 이후탐라는 무령왕~위덕왕대 신속관계를 맺게 되는데 외교권을 위임한 채 자치권을 보장받는 간접지배 방식을 택했던것으로 해석된다. 백제가 멸망하고 신라에 복속된 후에도 여전히 동일한 지배방식을 고수하고 있었다. 하지만 7세기 후반 신라의 탐라 경략으로 직접지배 방식의 복속관계로 전환된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백제 신속 기간과 멸망 후 신라의 탐라 재경략 이전까지 종래의 곽지리식토기 전통이 잔존하고 있지만 백제와 통일신라 양식의 고고학적 물질문화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는 것에서 비롯된.다3세기대 등장한 탐라는 서남해안 지역의 정치세력을 기반으로 한반도 남부 지역의 다양한 정치체와 교역체계를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교역루트는 백제의 영역확장과 신속 그리고 신라의 복속과 경략 과정에서 축소되고 와해되었지만 8세기 이전까지 國체제의 자치권을 인정받으면서 탐라라는 국명으로 지속되고 있다.

    영어초록

    It was around the third century AD that the upper class emerged among the Juho, which grew through its negotiations with three Hans since the first century BC, made a transition to the Tamna political system as the subject of foreign negotiations. The tombs with iron grave goods in Yongdamdong imply the presence of the upper class that participated in the trade system with the small state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Tamna imported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Mahan and the ironware of Byeonhan and Jinhan via the trade route networked around the Sinmi Empire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third century. That is, the Mahan-style foreign pottery excavated at the base settlement of Tamna from the third to the fifth century is the proof that it had mutual exchanges with the political regimes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including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The Mahan force around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was reduced by King Dongseong’s direct rule over Mujinju in the latter part of the fifth century and included in the territory of Baekje’s direct rule in the former half of the sixth century when Baekje advanced to the basin of the Seomjin River. The extinction of the Mahan force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which was Tamna’s base of trade, became a huge threat to its trade system along with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Baekje. Tamna thus made its first friendly relation with Baekje at the eighth year of King Munyeong’s rule(508). Since then, Tamna formed a relation of subordination with Baekje during the rules of King Munyeong to King Wuideok with its diplomatic rights delegated to Baekje and its autonomy guaranteed by it in the indirect rule structure.
    The same style of rule was maintained even after Baekje fell and was subjected to Silla.
    In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h century, Silla ruled Tamna and converted its old structure of indirect rule into that of direct rule based on subordination.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탐라의 대외교류 · 51 These historical contexts derive from the remaining heritage of the old Gwakjiri-style pottery and the absence of clear archeological material culture in the styles of Baekje and Unified Silla between the period of its subordinations to Baekje and the fall of Baekje and Silla’s rule over Tamna again.
    Emerging in the third century, Tamna had a trade system with various political regi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political force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Its trade routes were reduced and collapsed in the process of Baekje expanding its land and subordinating Tamna to its rule and in the process of Silla’s subjugation and rule, but Tamna had its autonomy as a state system recognized and kept its name until the eigh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