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성제(四聖諦)로 이해한 야스퍼스철학 (A Critical Understanding of Karl Jasper’s Philosophy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12
37P 미리보기
사성제(四聖諦)로 이해한 야스퍼스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4호 / 249 ~ 285페이지
    · 저자명 : 김선, 최종석

    초록

    불교는 인간을 고통스런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고통은 반드시 극복될 수 있는 고통이다. 불교교설을 통해서 인간은 스스로의 힘으로 이 고통을 극복하고 절대적 경지인 열반에 이를 수 있다. 그런데 야스퍼스철학도 이와 매우 유사함이 있다. 즉, 야스퍼스는 죽음, 고통, 투쟁, 죄책 등의 한계상황(限界 狀況)을 통해서 인간의 질적인 비약이 이루어진 실존(實存)으로 존재함에 의해서 절대적 경지인 초월자(超越者)의 만남에 이르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야스퍼스철학은 인간 스스로의 결단에 의해서 비약이 가능하나 본래적 자기인 실존으로 존재함은 순간이며 추락(墜落)과 초월(超越)의 반복적 비극성이 있다. 야스퍼스에게 있어서 실존은 인간의 궁극적인 도달점이며 초월적 존재이다. 그러나 야스퍼스에게 있어서의 초월적인 영역은 현실세계와 분리된 또 다른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의 철학에 있어서 초월함이란 인간의 질적인 비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불교에서 의식의 고양을 통한 인식의 전환으로 질적인 비약이 일어나는 열반에 상응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야스퍼스는 불교에서처럼 구체적인 질적 비약의 방법제시를 거부한다. 절대적으로 개별적 존재인 실존에게는 구체적인 방법 제시가 합당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그리고 본래적 자기인 실존의 경험은 순간에 불과하다는 것은 가능적 실존으로 존재한다는 말이다.
    야스퍼스의 철학은 애매하다고들 한다.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말이다. 그것은 개념과 개념들 간의 관계가 명료한 서양 철학적 사유와는 사뭇 다른 그의 철학적 구조에 있다. 이것을 불교 교설의 핵심인 사성제(四聖諦)를 통해서 이해를 시도해 보았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Buddhism, human existence is full of suffering, but the suffering can be eliminated. Through the Buddha’s teaching, human beings can overcome the suffering and achieve the absolute truth which is Nirvāṇa.
    A similar idea can be found in Karl Jaspers’s philosophy. For Jaspers, a human being is not merely a finite being but a being with transcendent aspects. His recognition of the boundary situation (Grenzsituation), including death, suffering, struggle, and guilt, highlights the potential significance of being as Existenz for encountering the transcendent and ultimate being through its qualitative leap in his philosophy.
    The aim of this study is essentially to understand Karl Jaspers’ philosophy critically by using Buddhist essential concepts, “The Four Noble Truth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summarizing his philosophy very concisely, I rearrange the concepts in order to compare it with “The Four Noble Truths.” Thus, I find that there are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 core concepts in Karl Jaspers’s philosophy and Buddhist concepts.
    According to Jaspers, there is a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modes of Being: existence, consciousness-as-such, spirit, Existenz (Dasein, Bewußtsein-Überhaupt, Geist, Existenz). Existenz in Karl Jaspers’s philosophy is focused upon the non-empirical and non-objective dimension of the human being. And being as Existenz means self-being,one’s authentic and qualitatively improved mode of Being. So, it is possible that being as Existenz corresponds with Nirvāṇa in Buddhism. Both Existenz and Nirvāṇa are established as the last stage of a human being in Karl Jaspers’ philosophy and Buddhism respectively. The concepts and images of Nirvāṇa are regarded as an ultimate realm like Transzendenz in Karl Jaspers’s philosophy and its experience stays timeless while the transcendent experience, becoming one’s own authentic selfhood, in his philosophy is like a momentary flaring of spark. Therefore, being as Existenz needs transcendent thinking and unconditional efforts repeatedly.
    It is kind of a tragic factor in Jaspers’s philosophy.
    For Jaspers, Existenz is highlighted for “absolute individual” even though it stays just as a possibility of Existenz and is realized in a moment.
    It would imply that every individual should be respected as a potentiality of Existenz just like every sentient being should be treated as a potentiality of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