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밀레니엄>의 영화로의 재매개 현상 분석 (An Analysis of Two Remediated Films from a Nov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3.06
36P 미리보기
소설 &lt;밀레니엄&gt;의 영화로의 재매개 현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26호 / 71 ~ 106페이지
    · 저자명 : 오원환, 오종환

    초록

    이 글은 동일한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두 영화가 서로 다른 재매개의 전략적 수행을 통해서 원작의 문제인식과 성적 응시의 문제를 다양하게 개조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스웨덴 소설 <밀레니엄>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스웨덴 영화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미국 영화 <밀레니엄: 용문신을 한 소녀>의 서사 구조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 판은 스웨덴 판에 비해서 하이퍼매개적 욕망을 보다 많이 추구했고, 그로 인해서 원작소설의 문제인식이 영화 세계 안에 가둬지는 ‘틀’과 ‘닫힌 형식’의 영화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스웨덴 판은 소설의 문제인식이 영화적 공간을 벗어나 현실의 문제로 인식되도록 확장하는 비매개적 욕망이 보다 많이 추구된 ‘창’과 ‘열린 형식’의 영화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남녀주인공을 표상하는 영화적 맥락과 구조를 분석했을 때, 미국 판이 원작소설이나 스웨덴 영화와 다르게 남성 중심의 성적 응시를 통해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구성하고, 여주인공 리스베트를 독립적인 행위 주체가 아닌 남성의존적인 동시에 남성의 조력자로 재현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로서의 이미지를 여주인공에게도 부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미국판이 스웨덴 판에 비해서 원작소설을 보다 충실하게 옮긴 것처럼 보이지만, 원작의 정서적 무게감은 스웨덴 판에서 더 잘 전달된다고 지적한다. 결국 이 연구는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질 때, 제작 주체의 미학적 선택에 따른 재매개의 전략적 수행의 양상이 원작의 문제인식, 성적 응시 그리고 영화적 정서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two adapted films originated from a Swedish novel, <Millennium> in the concept of remediation. This study is concerned on (1) how the films used differently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immediacy and hypermediacy-to chang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riginal, (2) how the gendered gaze was constructed in the films, and (3) how the film styles influenced audience’s perception on the issues in the novel. Results suggest that the Hollywood version represented faithfully the narrative elements of the original, but the film did not reverberate on levels of meaning and subject matter of the original. Even though the Swedish version scenarized the novel somewhat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it represented affective sides and subject matters of the novel more closely to the original, compared to the Hollywood version. This paradox is related with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 which influenced film styles. As a ‘window’ and ‘the open’ form, the film seeks to the desire of immediacy while as a ‘frame’ and ‘the closed’ form, the film seeks to the desire of hypermediacy. In a closed film like the Hollywood version, however, the world of the film exists for itself. In an open film like the Swedish version, the world of the film is a temporal visual around an ongoing reality.
    Meanwhile, the male gaze of the Hollywood version is even stronger than that of the original and the Swedish film. In the Hollywood version, Lisbeth is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gaze through mise-en-scéne and controled by Mikael who is a leading character solving the core motif, while Lisbeth in the Swedish version leads the relationship with Mikael and plays a role as a hero in the filmic adventure. These different remediations shown in the two films from the original impose the different structures of perception on 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