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성 해자 식물유체로 본 경관 복원 연구 (A study on the ancient landscape reconstruction using the plant remains from the moat of Wolseong Place site, Gyeongj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08
30P 미리보기
월성 해자 식물유체로 본 경관 복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05권 / 105호 / 199 ~ 228페이지
    · 저자명 : 안소현

    초록

    월성 해자 출토 씨·열매류, 화분분석을 통해 AD 5~6세기대 월성과 그 주변지역의 식생경관을 복원하고, 고대인들은 식물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자와 북측 주변지역의식생경관을 구성하는 식물군의 생육장소를 논의할 수 있었고, 구체적인 추정 복원도로 표현하였다.
    해자에 자랐던 가시연꽃을 비롯한 다양한 수생식물군락, 호안 목제 구조물, 그리고 목제 구조물 바깥쪽의 해자 수역에 맞닿은 곳은 습생식물대로 이루어진 공간이 존재했을 것이다. 보다 북측으로는 인간활동의 영향으로 형성된 터주식물군 중심의 초지가 펼쳐지고, 그 배후에는 월성 북쪽을 흐르는 발천 주변으로 느티나무·느릅나무류가 주된 하안림(河岸林)이 분포하는 공간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신라왕경의 광역 식생경관의 변화양상과 고대인의 식물이용상에 대해 논의하고, 이것에 관련된 구체적인 복원그림 작성을 위해 앞으로 밝혀야 할 중요한 과제들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생육장소를 구체화시킨 식생경관 복원도 작성의 시도는 향후 월성을 포함한 신라왕경경관을 밝히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From the analysis of fruit, seed, and pollen remains excavated from the moats of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its nearby vegetation landscape in 5-6th century A.D. has been reconstructed and it tells about how people at the time utilized plants. An archaeobotanical reconstruction drawing is created based on the growing sites for the plants that constituted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moat and its neighborhood areas in the north. It is inferred that various hydrophyte communities including Euryale ferox populated the moat whereas the places in which the exteriors of wooden revetment structures adjoined the waters consisted mostly of hygrophyte zones. Northwards from the palace, a ruderal plant dominant grassland created by human activities seems to exist in the past, and the space beyond this grassland and around Balcheon river running across the north side of Wolseong Palace is assumed to be populated by riparian forests dominated with Zelkova - Ulmus at the time. From this reconstruction, some important issues are raised for the further research on the changes in the regional vegetation landscape in Royal capital of Silla and people’s plant utilization, and for the more detailed archaeobotanical reconstruction drawing as the cornerstone of the study on the Royal capital’s vegetation landscape, including Wolseong Pa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