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향관계로 본 이규영의 품사 분류 (On Lee Gyu-yeong’s Study about Parts-of-Speech of Korean in Relation with Other Contemporary Scholar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6.01
20P 미리보기
영향관계로 본 이규영의 품사 분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62호 / 19 ~ 38페이지
    · 저자명 : 김해금

    초록

    이규영(1890~1920)은 네 저술에서 품사를 다르게 분류하고 있는데 『온갖것』은 22개의 품사를 설정하고, 『말듬』은 9개, 『한글적새』는 15개, 『현금 조선문전』은 9개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품사의 분류를 주시경과 김두봉의 영향관계 속에서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형사형 어미와 부사형 어미를 ‘언’, ‘억’에 포함했는지에 따라 이규영의 저술이 주시경과 김두봉의 어느 저술과 밀접한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말듬』은 주시경의 『국어문법』(1910)과 부분적으로 김희상의 『조선어전』(1911)의 영향을, 『온갖것』과 『한글적새』는 주시경과 김두봉의 영향을, 『현금 조선문전』은 김두봉의 『조선말본』(1916)의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적으로 주시경의 영향을 받은 『말듬』과 김두봉의 영향을 받은 『현금 조선문전』을 제외한 『온갖것』과 『한글적새』는 주시경과 김두봉의 인식을 수용하면서도 나름대로 이규영의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예컨대, 주격 조사를 ‘만’에, 목적격 조사를 ‘금’에 포함시키는 이규영의 처리 방식이 주시경의 용어인 ‘만이’와 ‘금이’에 대한 인식을 충분히 이해한 기초 상에서 다르게 해석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규영은 ‘만’에 목적격 조사를 포함시키지 않고 ‘금’에 포함시키지만 주시경과 김두봉은 주격 조사나 목적격 조사를 하나로 묶어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종결어미를 ‘만’에 포함하고 있지만 주시경이나 김두봉은 ‘끗’ 또는 ‘맺’에 포함시키고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이밖에 ‘입, 업, 웁’의 용례로 제시한 파생접사를 품사로 파악하고 있지만 주시경과 김두봉은 단어형성 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 차이가 포착된다.

    영어초록

    The Parts-of-Speech categorizing suggested by Lee Gyu-yeong(1890~1920) had changed through his lifetimes. In Ongatgeot and Malmoi, which are his early works, 22 parts-of-speech was suggested. In Maldeum, which is his third, 9 was suggested; in Hangeuljelksae, fourth, he added 6 more and suggested 15; in Hyeongeumjoseonmunjeon, his fifth and last, came back to 9. The motivation underlying these changes can be understood by comparing his works to works by Ju Si-kyeong and kim Du-bong. His explanation about adnominal and adverbial conjugation shows that Ongatgeot was influenced by Ju Si-kyeong’s Maluisori (1914); Maldeum by Ju Si-kyeong’s Gugeomunbeop (1910); Hangeuljelksae and Hyeongeumjoseonmunjeon by kim Du-bong’s Joseonmalbon (1916). Although Lee Gyu-yeong was under influence of Ju Si-kyeong and kim Du-bong, he developed his originality in analyzing Man and Geum. He proposed different system from Ju Si-kyeong’s, while he fully understood what his colleagues suggested. For example, he categorized final Ending as Man, while others categorized them as Maet or Kke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