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ffects of a PPAR- (Peroxisome γ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Activator on Flow-Mediated Brachial Artery Dilation and Circulating Level of microRNA-21 in Hypertensive Type 2 Diabetic Patient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3.12
13P 미리보기
Effects of a PPAR- (Peroxisome γ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Activator on Flow-Mediated Brachial Artery Dilation and Circulating Level of microRNA-21 in Hypertensive Type 2 Diabetic Patien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고혈압학회
    · 수록지 정보 : Clinical Hypertension / 19권 / 4호 / 99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홍순준, Han Saem Jeong, 주형준, 박재형, 안철민, Cheol Woong Yu, 임도선

    초록

    Background: Endothelial dysfunction has been documente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hypertension.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ioglitazone in improving endothelial function in hypertensive type 2 diabetic patients during the 6-month follow-up. Methods: Hypertensive type 2 diabetic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ioglitazone (n = 25) or placebo (n = 25). Primary endpoint was to compare changes in brachial artery flow-mediated dilation (baFMD) between the 2 groups during the 6-month follow-up. Secondary endpoints were to compare changes in the circulating levels of microRNA-17, -21, 92a, -126, and -145 which have been known as indicators of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atherosclerosis progression during the 6-month follow-up. Inflammatory markers such as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high-sensitive C-reactive protein, adiponectin, soluble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sICAM-1), and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sVCAM-1) were compared during the follow-up. Results: The prevalences of risk factors such as hyperlipidemia, smoking, stroke, and family history of coronary artery disea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creases in baFMD (0.33 ± 0.34 mm vs. 0.02 ± 0.25 mm, p <0.05, respectively) and in the level of circulating microRNA-21 (0.23 ± 0.05 vs. -0.06 ± 0.04, p <0.05,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ioglitazone group when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during the 6-month follow-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s of new onset heart failure, fracture, and bladder cancer were noted during the follow-up between the 2 groups. Decreases in the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 such as IL-6 (-2.54 ± 2.32 pg/mL vs. -1.34 ± 2.12 pg/mL, p < 0.05, respectively), TNF-α (-1.54 ± 1.51 pg/mL vs. 0.14 ± 1.12 pg/mL, p < 0.05, respectively), sICAM-1 (-39 ± 52 ng/mL vs. 6 ± 72 ng/mL, p <0.05, respectively), and sVCAM-1 (-154 ± 198 ng/mL vs. -11 ± 356 ng/mL, p < 0.05,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ioglitazone group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during the follow-up. Conclusions: In hypertensive type 2 diabetic patients, pioglitazone may increase baFMD and circulatory microRNA-21 and decrease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6, TNF-α, sICAM-1, and sVCAM-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