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의 소통관 : 사의로절(思議路絶), 감응로통(感應路通) (Buddhist View of Communication : The way of thinking breaks(思議路絶) and the way of affection is open(感應路通))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8.08
37P 미리보기
불교의 소통관 : 사의로절(思議路絶), 감응로통(感應路通)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22권 / 3호 / 73 ~ 109페이지
    · 저자명 : 오창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서양의 소통관에 대비되는 동양 소통관의 특징을 불교에서 찾아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동양 소통관의 특징을 조화를 추구하는 것에서 구하고 이를 동일한 것을 추구하는 서양의 소통관과 대비시켰다. 서양의 소통관은 그것의 내용이 전달이든 공유든 근본적으로는 전달자와 수용자가 소통을 통해서 같은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을 추구한다. 반면 동양의 소통관은 서로 이질적인 존재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것을 추구한다. 그런 점에서 서양의 소통관이 주로 설득의 소통이라고 한다면 동양의 소통관은 주로 화합의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화합의 원리를 불교의 중도론에서 구했다. 중도론은 불교의 핵심사상으로서 우리의 언어가 취할 수 있는 네 가지 선택, 즉 있다는 긍정, 없다는 부정, 있으면서 없다는 긍정과 부정, 있지 않으면서 없지 않다는 비긍정과 비부정이 모두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우리의 사유가 이를 수 없는 경지로 끌고 간다. 그런데 이렇게 사유가 끊긴 곳에서 보살은 중생의 고통을 공감하면서 이를 구제하고자 하는 대비심으로 중생의 근기에 따라 알맞은 방편을 사용한다. 그럼으로써 보살은 자신의 주장을 세우면서 스스로 버리고, 타인의 주장을 깨뜨리지 않는 바가 없으면서 도리어 인정하게 되어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융무애한 중도론에 따를 때 논쟁은 그치게 되고 서로 화합하게 됨을 논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communication in the Buddhism as opposed to the western communication. This paper found out the features of oriental communication from those seeking harmony and compared it with those of western communication seeking the sameness. Western communicators seek to have the same meaning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whether its contents are transmitted or shared.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communicators pursue a way to live together, even though they are heterogeneous beings. In this sense, if western communicators mainly aim at persuasion, it can be said that oriental communicators have mainly aimed at harmon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found the principle of harmony in the middle way of Buddhism. By showing that the four choices a language can take, (1)positive, (2)negative, (3)positive and negative, (4)non positive and non-negative, can not be established, the middle way theory drives our thinking to a level where it can not reach. In the place where thinking is broken, Bodhisattva uses appropriate mean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living beings themselves by establishing their own claims, criticize others' claims, and even recognize them, allowing them to speak freely. In accordance with this kind of middle way without any interruption, we argued that the debate would cease and be harmonious with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