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주인권협약이 보장하는 사회권에 관한 연구-미주인권재판소 결정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Rights Secured by the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 Focusing on Decision Cases of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미주인권협약이 보장하는 사회권에 관한 연구-미주인권재판소 결정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43권 / 161 ~ 185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석

    초록

    인권(human rights)의 구체적인 권리성을 검토하면 ‘국가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권리인가’ 아니면 다른 권리와 마찬가지로 ‘국가에 의해 비로소 보장되는 권리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물론 인권 역시 국가에 의해 보장되고 실현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 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만 인류가 제2차 세계대전과 유대인 집단학살 등을 겪으면서 인권이 단지 국내 문제에 그쳐서는 안 되고 국제적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에 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969년 11월 22일에 미주인권 특별회의에서 채택되어 1978년 7월 18일 발효되었다. 정식명칭은 '인권에 관한 미주협약’이다. 미주 여러 나라간에는 1948년에 미주인권선언(사람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미주선언)이 채택되었으며, 1960년에 미주 인권위원회가 설립되었지만, 지역적 인권보장을 위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으로서 작성되었다. 지역적 인권 조약으로서는 미주인권보호조약에 이은 것이다. 당사국은 25개국. 조약 자체는 전문 및 3부 82개조로 되어있다. 또한 구체적 실시기관인 미주인권위원회와 미주인권재판소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미주인권협약에서 사회권의 보장 둘째, 사건에서 쟁점이 되는 권리에 대하여 어떠한 법적근거를 가지고 주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기본으로 미주인권협약의 사회권의 보장방법과 이에 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다른 지역인권협약과 비교·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미주인권협약의 사회권의 보장방법의 특수성과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권위원회와 인권재판소의 사례를 검토하면서 미주인권협약 상 사회권이 어떻게 보장되는지를 검토한다.

    영어초록

    Examining the specific nature of human rights, a question is raised as saying ‘is it a right to be necessarily secured universally beyond a state?’ or ‘is it a right of being secured at last by a state?’ like other rights. There is no room for doubts, of course, about what the human rights cannot help being secured and realized by a state, too. However, it can be said to be formed a bond of sympathy for what the human rights need to be universally secured in the international dimension without being left merely in a domestic issue while mankind suffers from the World War II and the Jedwabne Pogrom. It was adopted by a special conference of inter-American human rights on November 22, 1969 and then was taken effect on July 18, 1978. The formal title is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he American Declaration of Human Rights(The American Declaration on human rights and duties) was adopted among many inter-American states.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1960, but was prepared as the treaty of carrying legal binding force to secure Regional Human Rights. It is what was followed by the United States human rights protection convention as the regional human rights treaty. The involved states are 25 countries. The treaty itself is composed of the preamble and 3 parts & 82 articles. Also, there were detailed regulations on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ttee and IACHR(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which are the specific execution agenc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s about, first, the security of social rights in the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second, with which legal ground a right of becoming an issue in a case will be able to be asserted, and then aims to figure out a method of securing social rights in the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a problem about this, and to comparatively examine it with other conventions on regional human rights. Third, the aim is to consider specialty and problem of a method to secure social rights in the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o do this, it examines how the social rights are secured in light of the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while figuring out the cases of the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 Human Rights Cou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