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의어 기술의 방법 -「開始する」「スタートする」를 예로 - (A Method of Synonymous Description : in The Examples of KAISISURU and SUTA ː TOSURU)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0.11
20P 미리보기
유의어 기술의 방법 -「開始する」「スタートする」를 예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115권 / 173 ~ 192페이지
    · 저자명 : 강경완

    초록

    本稿では、「開始する」「スタートする」を例にコーパスに現れた語法から類義語を記述する方法について検討した。頻度と使用領域、文脈的特徴(構文的パターン、連語の意味傾向)を中心に「スタートする」「開始する」の使い分けの基準を、次のように抽出した。 (1)文法的パターンにおいては、「名詞(対象)+を開始する」「名詞(時間・場所)+からスタートする」が典型的な構文である。 (2)動詞の意味的な対象においては、「開始する」が「サービスや施設の利用・運営/軍事的行動/捜査・調査/医療行為/特定な作業・業務」などであるのに対して、「スタートする」は「生・生活・人生/新たに始める仕事>などである。 (3)使用領域においては、「開始する」が白書・法律・広報紙などの公的テキストでの使用が目立つのに対して 「スタートする」は雑誌やブログなどでの使用頻度が高い。

    영어초록

    In this paper, a specific method of describing synonyms was reviewed from the phraseology shown in the corpus, for example, KAISISURU and SUTA ː TOSURU. Focusing on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syntax patterns and the meaning tendency of the collocates that appeared in the contexts) and resister, the criteria for discrimination of KAISISURU and SUTAːTOSURU were extracted as follows.
    *if it’s one tendency, but for more than one tendencies. The same thing for criteria = criterion, (1) In the grammatical pattern, “noun (object) + wo KAISISURU ” and “noun (time/place) + kara SUTA ː TOSURU” are typical phrases.
    (2) In terms of semantic objects, KAISISURU refers to the “use and operation of services and facilities / military actions / investigations and surveys / medical activities / specific tasks / businesses”, and SUTA ː TOSURU refers to “life, living, and it’s life / new beginnings.” (3) KAISISURU is prominently used in public texts such as white papers, laws, and advertisement papers, while SUTA ː TOSURU has a high relative frequency in magazines and blog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based on the frequency, domain of use, and customary grammar patterns and semantic patterns for the vague sense or image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KAISISURU and SUTA ː TOSURU imprinted on the introspection of the native speak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empirically extracted from a large number of example sent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