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溪堂 柳疇睦의 『全禮類輯』과 예설 교류 (Gyedang(溪堂) Ryu Ju-mok(柳疇睦)'s 『JeonRyeYooJip(全禮類輯)』 and his Academic Exchang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溪堂 柳疇睦의 『全禮類輯』과 예설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41호 / 83 ~ 115페이지
    · 저자명 : 남재주

    초록

    溪堂 柳疇睦은 경상북도 尙州에서 활동하면서 退溪學派의 西厓學統을 계승한 학자이다. 그는 300여 명이 넘는 제자를 배출하였고 학술 진흥, 특히 禮學 분야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가 편찬한 『全禮類輯』은 家禮와 邦禮를 전체적으로 아우른 禮書로, 조선시대 예학 저술 가운데 가장 방대하고 면밀한 것 중의 하나로 꼽힌다. 이는 官撰이 아니라 한 개인의 학문적 열정으로 편찬한 私撰 ‘예설 종합서’로 그의 사후에 제자들과 지역 유림의 협조로 최종 정리되었다. 그가 가례뿐만 아니라 방례까지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결과물을 제출할 수 있었던 것은 西厓 柳成龍과 洛波 柳厚祚 등으로 이어져 家學 전통으로 자리매김한 ‘世臣之義’의 가르침을 출처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던 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한편, 류주목의 제자로서 近畿南人 性齋 許傳의 제자 명단에 함께 수록된 인물이 20명에 이를 정도로 많다. 특히 『전례유집』에 수록된 ‘師服’ 조목은 영남남인 東巖 柳長源의 『常變通攷』 자료를 기초로 하여 편찬하였는데, 류주목의 제자이자 허전의 제자인 克齋 盧佖淵의 아들 小訥 盧相稷이 「師服考」라는 저술에서 이들 자료를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경상북도 상주 중심의 류주목 제자와 경상남도 중심의 허전 제자 간에 학술적으로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Ryu Ju-mok was a scholar who succeeded Seoae Studies(西厓學) among the Toegye School(退溪學派) and was active in Sangju(尙州) Gyeongsangbuk-do(慶尙北道). He produced more than 300 disciple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motion of Yehak(禮學). In particular, he compiled the 『JeonRyeYooJip(全禮類輯)』 by incorporating the custom of the family and the rites of the country, and this book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xtensive and detailed among the Joseon Dynasty's ritual books. The reason he was able to make excellent results by studying the rites of the family and the state is because the teachings of Sesinjiui(世臣之義)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the family from Ryu Seong-ryong(柳成龍) and Ryu Hu-jo(柳厚祚).
    By the way, among the disciples of Ryu-jumok there are 20 people whose names were recorded on the list of Heo Jeon(許傳)'s disciples, Noh Pil-yeon(盧佖淵) was one of them. And Noh-Pilyeon's son Noh Sang-jik(盧相稷) wrote 「Sabokgo(師服考)」 which inherited theory of 『JeonRyeYooJip』's Sabok(師服). Based on the fact that the theory of 『JeonRyeYooJip』's Sabok began with 『SangbyeonTonggo(常變通攷)』, we can see that there was active academ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ciples of Ryu ju-mok in Sangju Gyeongsangbuk-do and Heo jeon i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