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립학교법 시행령 제13조 제2항의 ‘학교 교육에 직접 필요한 경비’에 대한 법해석 - 추상적이고 모호한 일반조항에 대한 법해석 - (Legal Interpretation of ‘expenses directly necessary for school education’ - Legal Interpretation of Abstract and Ambiguous General Provision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사립학교법 시행령 제13조 제2항의 ‘학교 교육에 직접 필요한 경비’에 대한 법해석 - 추상적이고 모호한 일반조항에 대한 법해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6권 / 4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학태

    초록

    사립학교법은 제29조에서 회계에 관한 사항을 법인회계와 학교회계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교비회계의 지출범위를 시행령에 별도로 규정하여 학교 교육의 물적기반을 형성하는 학교재정의 건전성 확보와 충실하고 안정적인 교육여건을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시행령 제13조 제2항 제5호 ‘기타 학교 교육에 직접 필요한 경비’라는 법규정은 매우 포괄적인 규정으로 그 의미와 내용이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해석을 둘러싸고 자주 논란과 다툼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이를 위반한 경우 형사처벌이 부과되기 때문에 어떤 세출항목이 ‘기타 학교 교육에 직접 필요한 경비’에 해당하는지 여부, 그리고 특히 학교 운영에 직접 필요한 소송비 등의 법률비용을 학교회계에서 지출하는 것이 적법한가 하는 점을 둘러싸고 많은 법적 다툼이 있다. 학교회계로부터의 지출은 관련된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살펴서 당해 학교의 교육에 직접 필요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학기관 재무·회계 규칙과 사학기관 재무·회계규칙에 대한 특례규칙 그리고 교육부 사립대학 예산편성지침에서 정한 것과 마찬가지로 특히 교직원 인사 및 학교 운영과 관련된 소송경비 및 자문료는 학교에서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학교 조직을 운영하는데 직접 필요한 경비라고 할 수 있으므로 학교회계에서 집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립대학 총장이 해당 대학 교직원의 퇴직금청구소송, 해고무효소송, 부당노동행위구제소송 그리고 국가인권위원회 시정권고결정 취소소송 등의 변호사비용을 학교회계에서 지출한 것이 사립학교법 위반 및 형법상 횡령죄로 기소된 사건에서, 법원은 1심과 항소심에서 유죄로 인정하였고, 대법원에서는 심리불속행으로 원심을 확정하였다. 그러나 퇴직금은 사립학교법 시행령 제13조 제2항 제1호 인건비의 범위에 포함되므로, 퇴직금 지급 요구 소송에 대응하여 지출한 변호사수임료는 교비회계에서 지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해고무효소송, 부당노동행위구제소송 등은 장기간에 걸친 노조파업에 따른 후속조치인 징계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에 대응하는 법률비용이므로 학교 교육에 직접 필요한 경비로 인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횡령죄의 성립조건으로서 불법영득의 의사는 권리자를 소극적으로 배제하고 소유자로서 목적물을 이용한다는 적극적 주관적 의사이므로, 설령 학교 교육이나 운영에 직접 필요한 경비가 아닐지라도 학교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경우는,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경우가 아니고 ‘본인을 위한 경우’이므로 불법영득의 의사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자기의 행위가 법령에 의하여 죄가 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오인한 행위는 그 오인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벌하지 아니한다는 법률의 착오에서, 정당한 이유는 규범적 계기의 존재, 조회의무의 성실한 이행, 위법행위와 조회를 신뢰한 행위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Article 29 of the Private Schools Act, matters related to accounting are divided into corporate accounts and school accounts. By separately stipulating the scope of expenditure for school expenses accounting in the Enforcement Decree, the soundness of school finances, which form the material basis for school education, are secured and a faithful and s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is guaranteed. However, the provisions of Article 13, Paragraph 2, No. 5 of the Enforcement Decree, “Other expenses directly necessary for school education” are very comprehensive regulations. Its content and meaning are abstract and vague, often causing controversy and contention over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legal disputes over whether it is legal to spend legal expenses such as litigation costs directly necessary for school operation in the school account. Expenditure from school accounts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directly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the school concerned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all relevant circumstances. Litigation expenses and advisory fees related to staff personnel and school operation are directly in charge of education at the school and directly necessary to operate the school organization, so it is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be executed by the school accounting. First, it is judged that it is reasonable to spend the attorney's fees paid in response to the lawsuit demanding severance pay, also in the education expenses account. Second, legal costs in response to lawsuits arguing over the effectiveness of disciplinary action, which are follow-up measures following a long-term union strike, can be recognized as expenses directly necessary for school education.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intention of illegal acquisition is not recognized if it is not for personal gain and ‘for the individual’. In the error of the law, that an act that one's act is mistaken for as not a crime under the Act is not punishable only when there is a justifiable reason for the misunderstanding, The justifiable reason can be judged on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normative triggers, the faithful performance of the duty of inqui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llegal act and the act of trusting the inqui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