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세전」과 공동묘지령, 선산과 북망산 - 염상섭의 「만세전」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Modernity, Nationality, and Class of the Cemetery in Colonial Korea - New historical interpretation on Yeom Sangseop's ‘Man se jeon(萬歲前)’)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0.12
43P 미리보기
「만세전」과 공동묘지령, 선산과 북망산 - 염상섭의 「만세전」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39호 / 95 ~ 137페이지
    · 저자명 : 한만수

    초록

    염상섭의 「만세전」은 식민지 조선을 공동묘지로 인식하면서, 근대화를 통해 그 묘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직설하고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작품에서 근대화의 상징물 또한 공동묘지이었다. 미신의 산물이면서 비생산적인 전통적 매장풍습을 버리고 근대의 산물인 공동묘지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공동묘지는 벗어나야 할 장소이면서 동시에 지향해야 할 장소로서 나타나 있는 셈이다.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현실적 맥락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오랜 매장관습을 일조일석에 일본식 공동묘지로 바꾸라는 총독부의 묘지령은 3․1운동의 한 원인이 될 정도로 조선인들의 원성이 높았지만, 급속한 근대화를 주장하던 일부 조선인들은 적극 찬성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전통적 묘지제도와 새로 도입된 공동묘지 제도를 대조하면서 그 사회경제적 의미를 살피고, 그 위에 염상섭의 묘지에 대한 인식을 재정위하고자 했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염상섭의 전통 묘제에 대한 비판은 선산으로 집중되는 바, 이는 일리 있는 비판이다. 그러나 선산은 주로 중류층 이상이 활용했던 것이었을 뿐이니 염상섭은 무산층이 왜 묘지령에 저항했는지는 알지 못했던 셈이다. 무산층은 일종의 중세적 공유지라고 할 수 있는 북망산의 무료 사용 권한을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었지만, 묘지령 이후에 그들은 죽어도 묻힐 곳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묘지사용료를 내야 했고, 사망진단서 등 근대적 서류까지 챙겨야 했다. 따라서 그들의 반발은 만세전에서 비판하는 것처럼 미신 때문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다. 하지만 염상섭은 유산층의 선산과 무산층의 북망산 사이의 구별을 무화시킨다. 더군다나 ‘조선인=근대미달=(묘지 속의)구더기’라는 등식을 떠올리는 것은 일본 경찰에 체포된 무산층 인물을 보면서였다.
    둘째, 이 소설에서 근대화의 모델로 상정한 공동묘지는, 여러 정황으로 보아, 염상섭이 유학시절에 자주 찾았다는 도쿄(東京)의 ‘조시가야(雜司谷)’ 묘지일 가능성이 높다. 이인화의 아내를 매장하는 핵심적인 장면이 단 두 문장으로 압축되는 등, 이 작품에서 공동묘지에 대한 묘사가 전무하고 단지 관념에만 의존하고 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인화의 아내가 매장되어야 했던 조선의 공동묘지는 일본의 그것과는 달리 전래의 황량한 모습 거의 그대로였으므로, 근대화의 모범으로서 구체적으로 묘사될 수 없었던 것이다.
    셋째, 일제는 산림조사사업과 묘지령을 통해서 식민지적 근대화를 위해 토지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겠다는 목적으로 ‘1물 1주권’의 배타적 소유권 제도를 도입한다. 만민공유의 중세적 공유지로 남아있던 조선의 산림(및 그 내부의 묘지)은 식민권력이나 그에 협조적인 유력 인사의 소유로 바뀌게 된다. 한국의 산림을 자본주의적으로 재편성하는 극적 계기였지만, 「만세전」에서는 ‘생산에서 면제된 공간’을 극소화하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적극 찬성하면서 오직 그 새로 늘어난 땅이 주로 일본인에게 넘어간다는 점만을 문제라고 인식한다. 근대화 과정에서 탄생되는 배타적 소유권의 수익자에만 관심 갖는 태도라고 하겠으며, 그 과정에서 고통 받는 계급에 대한 인식은 찾아보기 어렵다.
    「만세전」의 주된 소재인 묘지를 당대의 사회현실과 대조하면서, 식민화 및 자본주의화 과정에서 가장 고통 받은 무산계급에 대한 인식이 모자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은 중간계급 출신 작가로 경제문제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던 염상섭이, 오랜 일본 유학을 거쳐 귀국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필한 작품이라는 점과 유관할 것이다. 이 작품에 대한 지금까지의 해석은 대체로 민족과 근대성의 문제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계급과 자본주의의 문제를 소홀히 한 셈이다.

    영어초록

    Yeom Sangseop's ‘Man se jeon(The days before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represents colonial Korea as a kind of public cemetery. Although this literary work demands urgent shift to modern society out of its despairing status, the symbol of modernism in Mansejeon was ironically the public cemetery in Japanese style. Mansejeon suggests that the Koreans should abolish the unproductive, traditional burial customs before they would accept the modern public cemetery. In this novel, the cemetery has contradictory meanings.
    The social contexts of the colonial Korea in the 1910s provides a springboard for understanding this contradiction.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proclaimed the public cemetery law changing the traditional burial customs in colonial Korea into modern cemeteries. Some modernizers accepted this cemetery decree wholeheartedly, but most of the Koreans strongly opposed it. Comparing the Korean traditional burial system with the newly introduced one, this paper explores socioeconomic significance, and then redefines Yeom Sangseop's understanding of cemeteries. To sum it up, it is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the traditional burial ground system, Yeom Sangseop's reasonable criticism is mainly focused on the family grave sites(Seonsan, 先山), only largely used by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Yeom could not understand why those in the lower classes put up stubborn resistance to the public cemetery law. Although the lower classes had long had the traditional right to use the public cemetery fields for nothing, they were divested of all rights to free burial yards by the public cemetery rule. Besides with economical burden, the great unwashed-most of them were uneducated and illiterate, had to submit the official documents such as a death certificate. As a result, they had difficulties in finding burial grounds. Their resistance was not entirely based on the feudalistic features which Yeom Sangseop regarded as the main cause. However, Yeom fails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bourgeoisie's family grave sites and the proletariats' public graveyards. In addition, the proletariat figures reminded Lee Inhwa, the main character in Mansejeon, of the equation ‘Korean=Unachieved modernism=maggot’

    Second, considering a variety of circumstances, the public cemetery, represented as a model of modernization in Mansejeon, should be Zōshigaya(雜司谷) Cemetery, Tokyo; Yeom Sangseop often visited here during his study abroad. This is the reason why the burial scene of Lee Inhwa's wife is expressed just by two compressed sentences. Because Chosen's cemeteries were very bleak at that time, detailed descriptions might be impossible.
    Third, to raise land productivity in colonial Korea, the Chosen Government-General introduced the forestry investigation(山林調査事業) and the public cemetery decree, based on the exclusive ownership. As a result, Chosen's forests as ‘medieval public land’ and burial yards turned into property for the Government General or influential figures. Although such a dramatic shift made colonial Korea's lands suitable for a capitalistic system, Yeom Sangseop supported this policy minimizing the size of lands exempted from production. Besides, he recognized the Japanese ownership of the newly increased land as the only problem. This means that his recognition just focused on exclusive ownership's benefiters, and lacked why the oppressed in colonial Korea were suffered in the process of colonial modernization.
    In conclusion, existing interpretations, excessively focused on nationality and modernity in Mansejeon, have overlooked the problem of capitalism and hierarchical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