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靈潤의 유식학파 불성설 비판과 神泰의 반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íng-Rùn’s criticism of vijῇaptimātra-vada’s buddha-nature theory and the refutation of Shén-Tài)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2.11
34P 미리보기
靈潤의 유식학파 불성설 비판과 神泰의 반박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4호 / 301 ~ 334페이지
    · 저자명 : 김치온

    초록

    본 논문은 영윤과 신태의 불성론에 대한 논쟁 배경과 시기 그리고 논쟁의 내용들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논쟁이 이루어진 직접적인 배경은 현장이 인도에서 가져온 『유가사지론』의 번역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불성논쟁은 일체중생 실유불성이라는 관점에서 불성이 시유인가 본유인가라는 논쟁이라면 영윤과 신태의 불성논쟁은 이성에서는 모두 평등하게 불성이 있지만 행성으로 본다면 일부분 불성이 없는 중생도 있다는 것에 대한 논쟁이라 하겠다. 영윤의 문제제기는 『유가사지론』의 번역이 완료되기 전후(648년)에서 신역 『섭대승론』의 번역이 완성되기 전(649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신태의 반박은 신역 『섭대승론』의 번역이 완성된 649년 윤12월 이후에서 『성유식론』의 번역이 완료된 659년 윤 10월 전까지 일 것으로 보여진다.
    일부분 무불성 중생을 세우는 것에 대해 영윤은 첫 번째로 경전의 경구를 통해 비판하고 있다. 영윤은 일부분 무불성 중생을 세우는 것은 마구니의 권속으로서 마구니의 주장이라고 한다. 그러한 주장은 일부분 무심중생이 있다는 것을 세우게 되며, 불성의 편만성에 위배되며, 대승의 평등법성과 동체대비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신태는 『열반경』에는 물론 새로운 경론에도 5종성을 설하고 있으며, 일부분의 유성 무성을 모두 설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정성과 부정성은 기근(機根)을 증험함으로써 안다고 하고 있다.
    두 번째는 『열반경』에 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는 것은 소분일체이며, 그러므로 무성중생을 세우는 것이며 대승경론과도 어긋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영윤의 비판이다. 영윤은 여래와 진여는 차별이 없으며, 어떠한 중생이건 여래장을 지니고 있어서 일체 중생에게 진여의 불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해석한다. 그러므로 일체중생이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소분일체가 아니며 전분일체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신태는 일체중생이 불성이 있다는 것은 일체 중생에게 진여가 평등한 이치로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행성(行性)으로서는 있기도 하지만 없기도 한 것이다.
    세 번째는 일부분 유정이 불성이 없는 것은 행성이 있지 않은 것이며 이성이 평등함을 논한다면 모두가 불성이 있다고 한 것에 대한 영윤의 비판이다. 영윤은 이성은 진여불성으로서 체성이며 행성은 인과의 행성으로서 업성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성 불성이 있으면 반드시 행성의 불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신태는 경론에서 일체중생 실유불성을 설하는 것은 두 가지 공에 의해 드러난 진여평등의 이치로서의 불성에서 설한 것으로, 이는 이성이다. 이에 반해 행성은 능증의 원인을 성취한다는 점에서 불성으로, 본식중의 대승종자로서 무상법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행성의 유무는 단정할 수 없어서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고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I have examined to the background, timing, and content of the debate about Líng-Rùn(靈潤) and Shén-Tài(神泰)'s theory of the buddha-nature. According to Zuī-chẻng(最澄)'s ‘Beophwasugu (法華秀句)’, the arguments were exchanged by writing a ‘One-chapter (一卷章)’ each. It can be found that the direct background of the debate is in the translation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brought by Xuán-zhuăng(玄奘) from India.
    The period of argument was estimated through the scriptures cited by Líng-Rùn and Shén-Tài. Líng-Rùn's question can be arised to be before 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ranslation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648) and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translation of the new ‘Mahāyāna-śaṃgraha’ (649). Shén-Tài's rebuttal to this is expected to be from december of the leap month 649, when the translation of the new ‘Mahāyāna-śaṃgraha’ was completed, to october of the leap month 659, when the translation of ‘Vijῆaptimatratasiddhiśāstra’ was completed.
    Líng-Rùn is the first to criticize the establishment of a partially non-buddhanature beings through the epigraph of the scriptures. The establishment of some non-buddhanature sattva is devil's insistence, claiming the mindless beings. In addition, it violates the flatness of buddha-nature, and it goes against the equal dharmatā of Mahāyāna and the great mercy with all beings.
    In response, Shén-Tài suggests that there are five kinds of Gotra in the new scriptures as well as in the ‘Nirvāṇasūtra’, and that established all of the partially buddha-nature and non-buddhanature.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fixed and unfixed nature are known through experience of the energy of buddha teachings(機根).
    The second criticisms by Líng-Rùn are as follows. In the ‘Nirvāṇasūtra’, it is the small part of all sattva that all living beings are said to be buddha-nature. Therefore, it is to establish a non-buddhanature people, and it is not contrary to the mahāyāna sūtra. Líng-Rùn quotes ‘Nirvāṇasūtra’ and ‘Ratnagotravibhāga- mahāyānôttaratantraśastra’, it interprets that there is no discrimination between Tathāgata(如來) and bhūtatathatā(眞如), that any sattva has a tathāgatagarbha(如來藏), so all living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of bhūtatathatā. Therefore, all living beings have buddha-nature is found in all part of sattva not in small part of sattva.
    In response, Shén-Tài said that the reason why all living beings are buddha-nature is that all living beings have the bhūtatathatā as truthful equal reason. But in the practice of buddha-nature, there could be exist or non exist.
    The third, Líng-Rùn criticized that some of the sattva do not have buddha-nature because of not practicing of buddha-nature, and if we discuss the equality of the principle of buddha-nature, every sattva must has buddha nature. Líng-Rùn cited ‘Nirvanasutra’. ‘Ratnagotravibhāga-mahāyānôttaratantraśastra’, ‘Buddhatāśastra(佛性論)’ and the old translation ‘Mahāyāna- śaṃgraha’, saying that the principle of buddha-nature is a constitution as the buddha-nature of bhūtatathatā and the practice of buddha-nature is a karmatā(業性) as the practice of buddha-nature of cause and effect. Therefore, it is argued that if there is the principle of buddha-nature, there must be the practice of buddha-nature.
    Shén-Tài said that all living beings has the buddha-nature is based on the buddha-nature as the reason for bhūtatathatā equality revealed by the two kinds of sūyatā, which is the principle of buddha-nature. On the other hand, practice of buddha-nature is the buddha-nature that it is the cause of acquirement, and it is called the dharma of impermanence as a mahāyāna-bīja in essential consciousness. Therefore, as we cannot finally concluded that there is or not exist practice of buddha-nature, but we can say there could be or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