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비고령 보행자와 차량간의 상충위험도 측정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Conflict Between Elderly or Non-elderly Pedestrians and Vehicl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7.12
12P 미리보기
고령/비고령 보행자와 차량간의 상충위험도 측정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35권 / 6호 / 499 ~ 510페이지
    · 저자명 : 장정아, 이현미, 최기주

    초록

    2016년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 4,292명 중, 노인사고 사망자 수는 1,732명에 달한다. 그럼에도, 고령 보행자의 도로횡단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보행자와 차량 간의 횡단특성을 고령 보행자 측면에서 조사 및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2개 지역, 6개 지점에 대한 횡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 횡단 시 고령자는 626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528건(84.3%), 비고령자는 478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303건(63.3%)이 위험상황으로 나타나,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3.11배의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상황에 직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고령자의 경우 전체 626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519건(82.9%)의 무단횡단이 나타났고, 비고령자의 경우 478건의 상충 상황 중에서 375건(78.5%)를 보여,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1.34배의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무단횡단 경향을 보였다. 셋째, 보행자안전간격(Pedestrian Safety Margin, PSM)을 분석 결과 고령자의 PSM은 3.33초, 비고령자의 PSM은 4.04초로 고령자의 PSM은 비고령자보다 약 17.5%가 작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30km/h 이하 차량, 30-50km/h 차량, 50km/h 이상인 차량으로 나누어 보행자 안전간격의 차이를 검토해 본 결과 속도30km/h 미만 차량과 속도 30km/h 이상 50km/h 미만 차량의 PSM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속도가 50km/h 이상인 차량과의 상충은 30km/h 미만과 30km/h 이상 50km/h 미만보다 PSM 이 유의미하게 작아진다. 다섯째, 위험상황의 임계치를 PSM 2.5초 이하로 설정한 경우, 고령자가 비고령자 보다 1.59-2.53배 위험하게 횡단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고령 보행자와 비고령보행자의 횡단 행태 차이를 토대로 고령 보행자안전대책, 자율주행차량의 안전 등의 기반 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영어초록

    Traffic accident fatalities in Korea in 2016 was 4,292 and 1,732 cases were deaths of elderly people. In spite of this, the researches on behaviors of the elderly when crossing roads, are rather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road cross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en crossing road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and vehicles. Cross-sectional data was collected from six different sites in two regions and the following results was identified. First, at road crossings, 528 cases(84.3%) out of 626 conflict situations of the elderly and 303 cases(63.3%) out of 478 conflict situations of the non-elderly pedestrians were found to be dangerous, respectively. The elderly tend to fa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of 3.11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elderly people. Second, 519 cases(82.9%) of jaywalking occurred in 626 conflict cases of the elderly and 375 cases(78.5%) of jaywalking in 478 conflict events of non-elderly persons, which indicates the elderly’s 1.34 times higher trend compared with the non-elderly’s . Third, the pedestrian safety margin (PSM) analysis showed that the PSM of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were 3.33 seconds and 4.04 seconds respectively, which is 17.5% high. Fourth, the difference in pedestrian safety interval was examined by dividing the speed of approaching vehicle into less than 30km/h, above 30km/h and less than 50km/h, and over 50km/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SM of coming vehicles with the speed less than 30km/h and the PSM of approaching with the speed 30km/h~50km/h, but the conflicts with vehicle of the speed above 50km/h show significantly lower PSM than with vehicle speed of 30km/h~50km/h. Finally, when the risk threshold is set to less than 2.5 seconds, the analysis shows that older pedestrians tend to cross roads dangerously 1.59~2.53 times than younger pedestrians. The results set forth here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nstructing the elderly safety measures at present and a potential basis for autonomous vehicle safety application in the future for solving the issue of the difference in crossing behavior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pedestr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