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훈춘 협령의 지역관리와 인삼행정 (Hunchun Banner Garrison and Ginseng Management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8.01
40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훈춘 협령의 지역관리와 인삼행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93호 / 191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선민

    초록

    본 논문은 『琿春副都統衙門檔』에 수록된 훈춘 협령의 보고문을 분석하여 18세기 후반 청의 동북 변경에서 팔기주방이 담당하고 있었던 역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청조가 이 지역을 통치한 방식의 특징을 파악한다. 협령은 청이 중원을 정복하고 제국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팔기의 관원이었다. 이 가운데 훈춘에 주둔한 협령은 길림장군과 닝구타 부도통의 관할 하에 있으면서 자신의 관할지역에 있는 모든 팔기 관병과 그들의 가속을 총관하는 위치에 있었다. 팔기주방이란 원래 청조가 추진하는 다양한 전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군사기지로 설립된 것이었으나 청의 통치가 공고해지고 팔기가 특징지역에 영구적으로 주둔하게 되면서 팔기주방은 현지에서 일종의 지역 행정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훈춘 협령의 업무 내용은 카룬 설치와 지역 순찰에서부터 토지 경작, 의창 관리, 은량 대출, 무기 관리에 이르기까지 극도로 다양해졌다. 이는 별도의 통치조직이 없는 동북의 변방에서는 팔기주방이 실질적으로 지역을 통치하는 행정기구로 기능했음을 잘 보여준다.
    훈춘 협령의 업무는 특히 인삼행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청조는 북경으로 이주하여 인삼의 생산지로부터 멀어진 후에도 인삼을 국가의 중요한 세원으로 여기고 이를 독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성경에 유조변을 설치하고 길림 일대에 카룬을 설치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이 지역의 팔기주방에게 불법채삼인의 단속 임무를 부여한 것은 모두 청대 인삼이 황실과 국가 재정에 중요한 자원이었음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황제・장군・부도통・협령의 의도와는 달리 훈춘에 거주하는 팔기 관병과 그들의 가속들은 인삼의 경제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연루되어갔다. 어떤 이들은 삼표를 사서 직접 채삼에 나서기도 하고, 삼표의 보증인이 되어 채삼의 이익을 나누기도 하는 등 합법적인 방식으로 인삼의 경제에 참여했다. 또 다른 이들은 불법채삼인의 통행을 묵인하는 대가로 뇌물을 받기도 하고, 금령을 어기고 채삼인들에게 말이나 곡식을 팔기도 했다. 훈춘에서 만주족의 문화적・경제적 상징인 인삼과 그들의 군사적・정치적 핵심인 팔기는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영어초록

    Hunchun Regiment Colonel was the head of the banner garrison stationed in Hunchun under the supervision of senior commanders such as Jilin General and Ningguta Lieutenant General. His primary responsibility was to manage the affairs relevant to banne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in his jurisdiction.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banner garrisons had been built as a military facility for Qing army to wage wars throughout the empire. As the Qing rule became consolidated in China and banner soldiers were permanently stationed in their dispatched locations, some banner garrisons in Manchuria, where other ruling organizations were not available, such as Hunchun, gradually took the role of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 A report made by the Hunchun Regiment Colonel in 1748, for example, shows that he was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tasks, including building guard posts and dispatching soldiers, patrolling mountains and rivers in his jurisdiction, managing land cultivation, reporting the amount of rainfall and snowfall on a regular base, taking care of the public granary, loaning silver to banner soldiers, and checking weapon management.
    Among these various duties, the ginseng managemen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 the Hunchun Regiment Colonel. Largely available around the Hunchun region, ginseng was both the cultural symbol of the Manchus and the important income source for the Qing imperial court. The emperor imposed a strict order upon his banner officials to protect ginseng mountains in Manchuria. In order to come up to the imperial expectations, Jilin General, Ningguta Lieutenant General and Hunchun Regiment Colonel all endeavored to station banner soldiers in key locations and prevent illegal traffickers to access the ginseng mountains. Against all the efforts made by banner officials, howeve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in Hunchun were involved in the ginseng business in many ways. Some of them joined the ginseng business in a legal route by purchasing legitimate ginseng licenses themselves or being a guarantor of ginseng poachers to share the taxes as well as profit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ultiple ways to gain ginseng profits against state regulations. Soldiers at the guard posts were supposed to arrest illegal poachers if they did not possess a legitimate pass, but instead they received bribes and allowed the criminals to sneak into the ginseng mountains. Other soldiers traded food and horses with ginseng hunters, a practice that were clearly against the regulation. By doing so, banner soldiers and ginseng, two key symbols of the Manchus, were closely intertwined in this remote corner of the Qing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