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트남전쟁의 현실과 일본의 평화담론: 베평련과 전공투를 중심으로 (The Vietnam War and Pacifism in Japan: Focusing on Peace Discourse of Beheren and Zenkyot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베트남전쟁의 현실과 일본의 평화담론: 베평련과 전공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과 평화 / 6권 / 2호 / 66 ~ 103페이지
    · 저자명 : 남기정

    초록

    일본에서 베트남전쟁 시기 두드러진 사회운동은 크게 보아 두 갈래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시민’이 중심이 된 비폭력 반전운동인 ‘베평련(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의 운동이었고, 다른 하나는 ‘신좌익 학생’들이 중심이 된 폭력혁명 운동인 ‘전공투’ 운동이었다. 이들 운동은 일본이 베트남전쟁의 전선에 군사물자를 보급하는 기지가 되어 있는 현실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이러한 현실을 전제로 한다면, 일본에서 베트남전쟁에 반대한다는 것은 ‘기지국가’ 일본이 베트남전쟁으로 구조화된 동아시아의 전쟁 시스템에서부터 이탈할 것을 당면한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어야 했다. 따라서 그것은 평화헌법이 미일동맹에 의해 보증되는 ‘전후체제’의 해체를 요구하는 운동이기도 했다. 이에 호응한 것이 베평련과 전공투였다.
    베평련과 전공투는 ‘기지국가’의 현실에 변경을 가함으로써 베트남전쟁에 가담하고 있는 일본이라는 고리를 탈락시키고, 나아가 동아시아 규모로 확대되어 제도화한 전쟁의 시스템을 와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운동이었다. 이렇듯 ‘기지국가’의 평화운동은, ‘기지’의 해체를 목표로 하고 ‘국가’로부터의 이탈을 수단으로 한 베평련 운동과, ‘기지’와 일체화한 ‘국가’ 그 자체를 파괴하여 해체하려 했던 전공투 운동으로 분화되어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운동에도 불구하고, ‘전후체제’는 살아남았고, 이들이 체현했던 평화의 담론들은 오히려 ‘전후체제’를 지탱하는 사상적 거점으로 간주되어,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을 외치는 세력들에게 비판과 비난의 과녁이 되어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Vietnam War there were two major types of social movements in Japan: one was called Beheren(Peace to Vietnam! Citizens’ Coalition), which was a nonviolent antiwar movement run by ordinary citizens. The other was Zenkyoto, a revolutionary violent movement whose main protagonists were university students of the new left wing. These movements arose largely out of discontent that Japan was used as a baseto supply the Vietnam War with military goods. Many Japanese were unhappy with this situation and thought that the country should not be associated with the Cold War or the war efforts of the United States in East Asia. In this vein they demanded the deconstruction of the Post-war system where the Peace Constitution was endorsed by the US-Japan alliance.
    People participated in Beheren or Zenkyoto would like to make Japan stop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War by changing the reality of the military base-state and then challenging the war system in East Asia. While Beheren aimed to deconstruct the military bases and cut ties with the US, Zenkyoto’s goal was to deconstruct Japan itself which was identified with the U.S. military bases. Peace movements in Japan as a ‘base-state’ have had goals to which both two different groups aimed. But in spite of these movements the post-War system has survived. Furthermore, the philosophical roots of these movements were conserved as thought to support the post-War system, and were therefore criticized by groups insisting on breaking away from th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과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