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3-14세기 중국 滿池嬌 樣式[蓮池水禽紋]의 유행과 고려 유입 (On the Chinese Manchijiao style (or the Korean Yeonjisugum pattern) and its Introduction to Goryeo during the 13th to 14th Centuri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7.12
37P 미리보기
13-14세기 중국 滿池嬌 樣式[蓮池水禽紋]의 유행과 고려 유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6권 / 296호 / 65 ~ 101페이지
    · 저자명 : 유지원

    초록

    본고는 국내 학계에서 물가풍경문 중 蓮池水禽紋이라 지칭하는 중국 滿池嬌 樣式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만지교 양식은 연화가 중심 소재로 자리하며 수금에 따라 남북방 문화와 관련하여 남북방 유형으로분류하였다. 연화는 중국 강남지방의 ‘채련’ 풍습을 기원으로 북방으로 확산되며, 유불교를 상징하는 대표적 소재로 정착했다. 이러한 연화의 중국 유입과 형성 과정은 이후 만지교 양식으로 구체화되는 배경이 되었다. 송대 문인 문화, 요대 ‘春捺鉢’ 유목 문화 등의 남북방 문화가 그 당시 황실과 지배층 사회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고 영향력이 지속되면서 그들이 향유하던 공예품의 문양 소재나 도상 등에도 만지교 양식이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후 남북방 문화가 혼합된 원대에 문종 황제의 어의에 만지교 양식이 차용되면서 왕실과 지배층의 表徵으로써 그들이 사용하는 공예품의 전용 양식으로 대표되었다.
    ‘만지교’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언급된 시기는 南宋代지만, 유물을 통해 보았을 때 만지교 양식의 정립은 唐代부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방의 만지교 양식에는 남방의 수금인 원앙과 백로가, 북방의 만지교양식에는 북방의 매와 고니가 표현된다. 남방의 수금인 원앙과 백로는 연화와 같은 불교 예술의 중요 상징기호이자, 세속 의미로는 우애, 애정 그리고 자유로움과 고결한 성향을 의미한다. 한편, 북방의 수금인 매와 고니는 북방 유목문화인 ‘춘날발’을 기원으로, 매는 북방인의 덕인 용맹을, 고니는 고상함과 지조를 의미한다. 그 가운데 고니 중심의 만지교 양식은 송대 남방 공예품에서도 확인된다. 남송의 항주 천도와 사대부의 문인적 성향, 宋遼代 집권에 따른 남북의 경계 지역이라는 세 가지 요인이 남방 지역에서 북방의 수금인고니가 만지교 양식으로 등장한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遼金元에서는 남방의 문화를 수용한 반면, 남방의 한인인 송에서는 북방 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해 만지교 양식의 변화가 한정적이었을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선택적 수용은 고려에도 나타나게 되는데, 고려는 중국 남북방 만지교 양식을 응용하여 고려만의 특색 있는 만지교 양식을 만들어냈다. 이에 만지교 양식은 고려 왕실과 귀족층부터 시작해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애호 받는 양식으로 자리 잡게 된다. 특히 북방의 춘수 양식에 주로 등장하는 매는 송과 고려공예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는데, 당시 송과 고려는 요와 금에서 신성시되는 매에 대하여 정서적으로 기피한 것으로 파악된다.
    만지교 양식은 단순히 공예품을 장식하는 문양이 아니라 중국과 고려인들의 성향과 문화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특히 만지교 양식은 소재에 따라 중국 남북방의 문화 성향이 적극적으로 반영된중국 문화의 일부였으며, 동시대 고려 왕실 및 고급 공예품에서도 만지교 양식이 사용되었다. 이는 당시 고려 내에서도 만지교 양식의 위상이 높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본고는 13-14세기 중국 공예품에 표현된 만지교 양식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시도한 것으로,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한 ‘만지교 양식’에 대한 개념과 연원, 전개 과정을 당대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 동시대의 고려 공예품에도 유입된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만지교 양식은 한·중 문화의 융합과 변용에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물가풍경문에 대한 이해의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hinese Manchijiao style, which is called Yeonjisugum pattern in Korea. The Manchijiao style has lotus flowers as its central motif and is divided into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types according to the water landscape and animals in it. The motif of lotus flowers originated with the custom of growing and appreciating lotus flowers in the regions to the south of the lower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and was spread into the northern China to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symbol both for Confucianism and for Buddhism. Water landscapes and animals as shown in the Manchijiao style were applied to craftwork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iterati cultur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nomadic culture of the Liao Dynasty such as the spring hunting of the emperor. Later during the Yuan Dynasty, the Manchijiao style was even adopted to the emperor’s clothes to become the symbol of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Although the term “Manchijiao” was first used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style began to be formed from the Tang Dynasty, regarding relevant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southern Manchijiao style features the southern animals of mandarin ducks and egrets, and the northern Manchijiao style shows the northern animals of hawks and swans. Mandarin ducks and egrets are important symbolic motifs in Buddhism and signify friendship, love, freedom, and loftiness. On the other hand, hawks stand for the nomadic virtue of bravery, and swans for elegance and fidelity. The Manchijiao style centering on the northern animals of swans is, however, found in the craftworks from the southern regions during the Song Dynasty. This is probably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capital to Hangzhou during the Southern Song; the strong literati culture of the period; and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culture on the regions arou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during the wars between the Song and the northern nomadic peoples. Therefore, the northern Manchijiao style was selectively borrowed in the southern regions ruled by the Han people, while the southern culture was actively learnt in the north during the Liao, the Jin, and the Yuan Dynasties.
    In Goryeo,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Manchijiao styles were selectively adopted and developed into a new decorative pattern. As a result, the style became established as a most popular decoration among people of various classes including the royal family, the noble, and commoners. For instance, the motif of hawks, which mainly appeared in the chunshui style of the northern China, was scarcely used in the Song and the Goryeo, probably because hawks were the animals held sacred in the Liao and the Jin.
    The Manchijiao styles not just served a decorative pattern but also ref lected the respective culture of China and Goryeo during the period. In China, it represents the different customs in the north and the south. On the other hand, it was applied to luxurious goods for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in Goryeo, showing how highly regarded the decorative pattern was.
    This article explored the Manchijiao style in China during the thirteenth to the fourteenth centuries including its concept, origination, and development. It also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the pattern was introduced to Goryeo, to show how it evolv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ulture of the region, to which it was adopted. In doing so, it intended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decorative patterns featuring water landscap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