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경제력 신장이 북한 및 접경국가들에 미친 영향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Economic Influence in North Korea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5.12
40P 미리보기
중국 경제력 신장이 북한 및 접경국가들에 미친 영향의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 / 27권 / 4호 / 261 ~ 300페이지
    · 저자명 : 이종운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주변 접경국가들에 대한 경제력 확산을 비교분석하여 북한의 대중 경제의존도 심화문제를 평가하고 변화하는 북⋅중 경제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2000년대 후반부터 나타나고 있는 북⋅중 경제협력의 확대와북한의 대중 경제밀착 현상은 자국 경제발전을 위해 주변국들의 에너지, 원자재, 노동력, 인프라를 확보하려는 중국의 전략적 이해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접경국가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북한의 대중 경제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이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중국의 영향력 확대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중국과의경제교류가 2000년대 들어 대폭 확대되면서 접경국가들의 대중 경제의존도는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몽골과 미얀마, 라오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은 교역 또는 투자에서 대중 지역편중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접경국가들에서도 불균형한 대중 무역구조가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의 자원 수요에 크게 의존하는 문제는 접경국가들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사하게 발견된다. 그럼에도 북한의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적 의존은 경제발전의수준이 낮은 여타 접경국가들과 비교하더라도 지나치게 높은 상태이고 최근의북⋅중 경제관계는 비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광물자원 위주의 대중 수출구조와 외자유치로 인해 북한경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이다. 중국의 여타 접경국가들과는 달리 북한이 경제개혁과 대외개방에 적극적이지 않는 상황에서 대중 경제교류가 급증하면서 북한지역이 중국경제의 주변부 로 기능하는 구조가 심화되고 있다. 북한의 대중 경제관계와 접경국가들과의비교연구는 북한경제 실태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중국의 경제력확산이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이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changing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the latter’s economic dependence through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Chinese economic influence in its 12 neighboring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rapid increase in bilateral trade of recording its peak of $6.5 billion in 2013, China has emerged as the major foreign investor with the commercial investment expansion in North Korean natural resources. The recent growth of Sino-North Korean economic exchanges and the higher degree of North Korea’s economic reliance on China since the late 2000s are largely driven by China’s strong demand for low-cost energy resources, raw materials, low-wage labor and cross-border infrastru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China’s economic engagement with North Korea by comparing the situations of China’s other bordering countri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growing Chinese economic intervention. Heavy reliance on mineral resource export to China and the unbalanced trade structure are a common phenomenon among China’s neighboring countries, but North Korea’s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is found most serious and its vulnerability to such external shocks as price downturn of the raw material market or policy changes of Chinese government is also significant. North Korea is consequently in danger of becoming a peripheral state to the Chinese economy if the North Korean regime fails to make a great effort to improve both its economic conditions and foreign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경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