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상왕의 혼인과 고구려의 정치 - 나부세력의 동향을 중심으로 - (The Marriage of King Sansang(山上王) and the Politics of Goguryo(高句麗) - Focusing on the tendency of Nabu power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5.05
32P 미리보기
산상왕의 혼인과 고구려의 정치 - 나부세력의 동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58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최일례

    초록

    본 논문은 산상왕의 즉위와 혼인의 과정에서 드러난 사건들을 통해 고구려의 정치와 나부세력의 동향을 설명하였다. 산상왕은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왕위계승의 과정에서 고국천왕의 왕비인 우씨 왕후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랐다. 그로인해 산상왕은 즉위하여 다시 장가들지 않고 우씨 왕후를 왕비로 맞아들였다. 이후 우씨 왕후는 동천왕대에는 왕태후가 되어 3대에 걸쳐 왕비세력으로서 최고의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산상왕의 즉위는 고국천왕의 遺命을 빙자한 우씨 왕후의 정치적 개입에서 비롯되었다. 원래 고국천왕에게는 뒤를 이을 아들이 없었는데, 그럴 경우 당시 고구려에서는 맏동생이 차기 왕위를 계승하는 것이 상례였다. 그렇다면 고국천왕 사후 맏동생 발기가 왕위계승을 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우씨 왕후는 고국천왕 사후 왕의 죽음을 숨기고 발기와 연우를 각각 만나 왕위계승과 관련한 문제를 논의하였고 그러는 과정에서 맏동생 발기는 왕후의 제안을 오해하여 거절하게 되었다. 이후 우씨 왕후는 연우의 집을 방문하였고 연우는 왕후의 제안에 호응하여 결국 왕위계승을 하게 되었다.
    맏동생 발기는 고국천왕의 뒤를 이어 산상왕 연우가 즉위하자 불만을 품고 그를 지지하던 소노부와 함께 산상왕 정권을 이탈하였다. 발기와 소노부는 요동에 웅거하던 공손씨 정권에 의탁하였다가 다시 그들의 세력 기반인 비류수가로 돌아왔다. 이때 발기는 요동의 공손씨 정권의 군사 3만 명을 빌려와 산상왕 정권을 무너뜨리고자 했지만 실패하였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렇지만 발기를 지지하였던 소노부는 여전히 산상왕 정권에 합류하지 않았던 듯하다. 바로 그러한 상황을 『삼국지』에는 산상왕 정권이 ‘更作新國’ 하였다고 표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바로 산상왕 정권과 비류수 지역의 소노부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없었던 당대 상황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단서로서 파악하였다.
    비록 산상왕이 우씨 왕후로 대표되는 연나부의 도움으로 즉위하였지만 점차적으로 산상왕 정권을 강화시켜 나가고자 하였을 것이다. 마침 그러한 기회는 후사를 얻기 위한 과정에서 드러난다. 산상왕과 우씨 왕후의 사이에는 아들을 두지 못하였고 산상왕은 왕 7년 산천에 제사하여 후사를 기원하였는데, 그날 밤 꿈에 천신이 나타나 ‘小后로 하여금 후사를 잇게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공교롭게도 당시 산상왕에게는 소후가 없었는데, 이후 교사에 쓸 돼지가 빌미가 되어 酒桶村 여인과 정을 통하여 동천왕 郊彘를 낳게 되었다. 주통촌 즉 관나부의 여인은 나중에 소후가 되었는데 이렇듯 산상왕과 주통촌 여인의 결합은 이미 하늘이 예비해 둔 운명적인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산상왕의 즉위와 집권 과정에서 보이는 혼인의 과정에는 산상왕 정권과 연나부의 결합, 소노부의 이탈과 이후 새롭게 관나부와의 관계 모색을 추진하는 당대 고구려 정치가 내재해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lluminates the politics of the Goguryo and the tendency of Nabu powers(那部勢力) through events revealed to the process of King Sansang‘s enthronement and marriage. King Sansang was a younger brother to King Gogukchon(故國川王) and was enthroned with the help of Woossi(于氏), the queen consort. Therefore, King Sansang accepted Woossi as his queen. Then the queen enjoyed the highest position as a queen's who had force over three generations as she became the king's mother.
    King Sansang's enthronement was derived from political intervention of Woossi under the cloak of the dying words by King Gogukchon. King Gogukchon did not have a son to succeed to him and in that case, it was custom that the first younger brother would succeed the throne. Therefore it was natural for Balki(發岐), the first young brother, to succeed the throne after King Gogukchon died, but queen Woossi concealed the death of the king and met Balki and Yeonwoo(延優) to discuss enthronement. In that process, Balki misunderstood the queen's suggestion and refused to take it. Then, queen Woossi visited Yeonwoo's place and Yeonwoo responded positively to her suggestion resulting in a successful enthronement.
    The first younger brother Balki was dissatisfied with the enthronement of Yeonwoo following King Gogukchon and deviated from the regime of King Sansang together with Sonobu(消奴部) which supported him. Balki and Sonobu referred themselves to Gongsonssi(公孫氏)'s regime which transferred to Liaodong(遼東) and then returned to edge of the Biryusu, the basis of their power. At this time, Balki attempted to defeat King Sansang's regime by borrowing 30,000 soldiers from Gongsonssi's regime, but this failed and he died. However, it seems that Sonobu, which supported Balki, did not join King Sansang's regime. The 『Samgukji(三國志)』 expressed the situation as ‘Gangjaksinguk(更作新國, rebuild up new government)’ by King Sansang. This was a clue to reveal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that King Sansang's regime could not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Sonobu.
    Although King Sansang was enthroned with the help of Yeonnabu(椽那部) which was led by queen Woossi, he intended to gradually reinforce his regime. Such an opportunity was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to gain a son to succeed him. King Sansang and queen Woossi did not have a son and the king prayed for a son in his 7th year of reign. On the night of his prayers, a god appeared in his dream and told him that a second queen(小后) would have a son for him. At the time King Sansang did not have a second queen and then fell in love with a woman he met from Jootongchon(酒桶村) because of a pig which would be used for a religious ceremony. From her, Gyoche(郊彘), the next King Dongchon(東川王), was born. The woman from Gwannabu(貫那部) became the second queen, which indicates that their marriage was destined by Heaven. Finally, this study discovered that combining King Sansang's regime with Yeonnabu, secession of Sonobu and Goguryo's political direction pursuing new relationships between Goguryo and Gwannabu were inherent in that marri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