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 관련 아동서사문학에 나타나는 윤리성과 전복의 상상력 (The Ethicality and Revolutionary Imagin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Related with Disabili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장애 관련 아동서사문학에 나타나는 윤리성과 전복의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2호 / 323 ~ 350페이지
    · 저자명 : 박성애

    초록

    본고의 목적은 2000년대의 장애 관련 아동서사문학 텍스트를 분석하여 아동과장애아동을 비롯한 타자에 대한 성인작가의 윤리와 전복의 상상력을 타자윤리적관점에서 탐색하는 데에 있다.
    장애아동인물들과 비장애인물들의 갈등은 장애아동인물이 자신의 욕망, 즉 욕망을 통한 자신의 물질성을 발화하는 순간 발생한다. 우선 장애아동인물과 비장애인물의 갈등이 크지 않은 텍스트에서는 장애아동인물이 비장애성인인물이 예상할 수 있는 대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장애아동인물의 성격이 선한것으로 평가될 때 갈등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장애아동인물의 주체적 욕망이 드러나지 않는 텍스트, 혹은 성인인물들에 의해 용인되는 것만 욕망하는 장애아동인물이 드러나는 텍스트에서 갈등은 훨씬 수월하게 봉합되고, 작가들이 추구하는 ‘선’은 아동독자들에게 분명하게 전달된다. 이 경우 ‘비장애아동은 장애아동에 대한 편견을 없앰으로써 그들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누그러뜨려야 하고 그들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은 ‘선’의 내용, 즉 작품의 윤리적 주제가 된다. 그리고 이는 장애아동은 선한 아이들이며 이 특성은 불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달리 성인인물이 가져도 좋다고 인정한 범위 너머를 욕망하는 장애아동 인물은 갈등을 불러온다. 이러한 인물이 중심이 되는 텍스트에서 장애아동인물의 욕망은 비장애인물들의 욕망과 상충하고 장애아동인물은 비장애인물들에게 불편을 끼친다. 이 경우 갈등은 쉽게 봉합되지 않고, 장애아동인물을 비롯한 여러인물들 사이의 소통이 갈등해결의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이러한 텍스트는 장애아동을 성인의 이념으로 완전히 파악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장애아동의타자성과 욕망을 인정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에서 갈등은 더 자주발생하고 그 해결과정도 단순하지 않기에 결말은 쉽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나주체는 타자를 투명한 대상으로 여기지 않으며, 타자의 물질성을 인지하기에 윤리적 관계인 사귐이 발생한다. 또한 주체와 타자가 얼굴과 얼굴로 만날 때, 주체가 타자의 물질성을 마주했을 때 비로소 주체의 현재를 바꾸는 미래도 가능해진다. 이처럼 현 사회 주체-비장애성인-의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는 욕망하는 타자-아동, 장애아동-의 등장은 문학의 윤리를 담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and to explore the Ethicality and Revolutionary Imagin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Related with Disability in the 2000s. In order to do this, I study the materiality of the Others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texts.
    The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s occurs when the disabled character starts to express his or her materiality through his(her) own desire. In the texts that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is not serious, the disabled character tends to be predictable by the non-disabled or the adult characters. When the personality of the disabled character is evaluated as good, conflicts do not occur especially. In the texts that the disabled character’s desire is not revealed, the conflict is resolved more easily and writers can pursue their ethic clearly to children readers. In theses texts, it is a subject of the texts that Non-disabled children should relieve their negative feelings toward disabled children by eliminating prejudice against them and be aware of their disability positively. This assumes that the disabled are good children and this is invariable. In 『Minwoo, you can do it』and 『The pianist with four fingures』, disabled characters do not make conflicts with non-disabled and adult characters, even though they reveal their desires. The desire of Disabled characters is revealed without conflict and supported by the adult characters because that desire is allowed by the adult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Sua and Jae-hyun of 『It’s a little different from me』and 『Byuki』make conflicts by desiring what is not allowed by the adult characters and doing that the adult characters can not accept. In this texts, the conflict is not resolved easily and communication is the essential ingredients for solution of conflict. So, the communication process is a ethic.
    Ethics i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so we should understand disable person is a being that has their own desire and materiality.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led persons is not important than we recognize that disabled persons is the Subject that have their desire and materiality. Ethic is perceiving the conflict as a matter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of human society and opening the communication possibility. So, the texts that is revealed the disabled person’s desire and materiality mean a lot to Korean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that express ethic of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pos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