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산력조사를 통해 본 일본의 인구정치, 1940~1950년대 (‘Population Politics’ in Japan, 1940s-1950s: Focused on the Meaning of a Fertility Surve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8.06
36P 미리보기
출산력조사를 통해 본 일본의 인구정치, 1940~1950년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18호 / 177 ~ 212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수

    초록

    이 글은 1940-50년대 일본의 출산력조사를 중심으로 인구담론의 궤적을 추적하고 그 정치적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이 시기 일본에서 인구를 바라보는 프레임은 “과잉인구론” → “인구감소사회론/자원인구론” → “산아제한론”으로 급격히 변화해갔다. 1930년대까지 농촌의 과잉인구 문제는 심각했고, 일본 국가는 이 문제를 산업화와 해외이민을 통해 해결하려 했다. 그런데 당시 일본정부는 산아제한을 대안으로 상정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인구를 물질적 자원으로 파악하는, 제1차 세계대전 이래 ‘총력전시대’의 관념이 존재했다. 또, 당시 유럽에서 목격되는 인구감소사회로의 전환이 국가의 힘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이를 반면교사로 삼으려 했다. 1940년에 후생성은 출산력조사를 통해 도농별, 직업별 출산력의 양태를 관찰했다. 일본인구의 증식을 핵심의제로 삼는 《인구정책확립요강》(1941)은 이 출산력조사를 근거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GHQ/SCAP의 점령기 동안 일본의 인구담론은 출산조절을 통한 인구억제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패전 이후 일본사회는 대륙으로부터 귀환한 인구와 베이비붐으로 인해 실업과 빈곤의 함정에 빠졌고, 산아제한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직접적인 수단으로 부상하였다. 나아가 산아제한은 인구의 질을 담보하면서 합리적인 가족의 크기를 결정하는 시민주체의 덕성으로서 의미화되었다. 록펠러재단을 필두로 한 미국의 민간재단은 일본 인구학자들의 출산력조사에 소요되는 연구비를 지원하고 연구자 교류를 확대함으로써 이러한 인구담론의 전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편, 일본의 인구담론에는 늘 일본 민족인구의 순혈성과 압도성에 대한 집착이 존재했다. 1945년 이전, 일본의 출산력조사의 결과물은 중국, 소련, 인도의 출산력과의 비교를 거쳐 안보위기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소비되었다. 피식민지 민족인구의 높은 출산력에 대한 위기감도 심각했다. 이러한 경향은 1945년 이후 일본 국가의 마이너리티 인구에 대한 방출의 시도로 이어졌다. 과잉인구사회로부터 저출산고령화사회로 이어진 일본 인구의 거대한 생애사적 순환은 ‘인구담론/표상의 정치적 구성’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다시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d on a fertility survey, aims at tracing the trajectory of the demographic discourse of Japan in the 1940s and 1950s to understand its political meaning. At that time, the frame for considering the population in Japan rapidly changed from the “surplus population theory” to the “population-decrease society and population-resource theory” and to the “birth control theory.” Although the problem of surplus population in rural communities was a serious one, Japan’s state attempted to resolve the problem with industrialization and immigration policies until the 1930s. However, at the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did not consider birth control as an alternative. Here, there was a concept of population of ‘total war system’ that manpower was recognized as materi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it was thought that the shift to a “population-decease society” witnessed in Europe factored into the weakening of national power, and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 it as a bad exampl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ed the fertility survey (1940) and examined the conditions of fertility by city, rural areas, and by occupation. The “Population Policy Establishment Guidelines” (1941), which set the growth of the Japanese population as the core issue,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ertility survey. However, during the occupation of GHQ/SCAP, Japanese society was caught in a trap of unemployment and poverty due to population return to the continent and the baby boom. Birth control also became a direct means of solving this problem. Furthermore, birth control was interpreted as the virtue of democratic and rational subjects, which guaranteed the quality of the population and determines the size of a reasonable family. The U.S. private foundation, for example, the Rockefeller Foundation played a critical role in changing this kind of population discourse by supporting the research expenses required for a fertility survey of Japanese demographers and expanding intellectu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ways an obsession with pure-breddedness and overwhelmingness of the Japanese national population. Prior to 1945, the results of Japan’s fertility surve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ina, the Soviet Union and India, being consumed as a way to stimulate the security crisis. There was also a serious sense of crisis about the high fertility of the colonial people. This tendency led to an attempt to expel minority group by Japan’s government since 1945. The historical cycle of the Japanese population, which resulted in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today, needs to be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opulation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