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제력집중 정책의 변화와 신흥 대규모기업집단의 등장 (Changes in the Policy of Controlling Economic Concentration and the Appearance of New Large Business Groups)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02
54P 미리보기
경제력집중 정책의 변화와 신흥 대규모기업집단의 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3권 / 3호 / 661 ~ 714페이지
    · 저자명 : 홍명수

    초록

    1987년 독점규제법상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한 규제가 도입되어 재벌의법적 개념으로 제시된 대규모기업집단을 대상으로 한 규제가 시작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동 규제의 기본 골격은 유지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지주회사의 금지에서 원칙적 허용으로 변경되었으며, 출자총액제한제도가 폐지되는 대신 신규 순환출자 금지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부당지원행위나 사익편취행위 규제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변화는현실 경제에서 재벌의 변화에 대응한 결과로 볼 수 있지만, 이로써 충분한지는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특히 주목할 것은 최근 새로운유형의 대규모기업집단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산업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 집중하여 온 셀트리온 그룹이나 디지털경제의 발전에 따라서 새로운 형태로 서비스를 창출하고 고객과 소통하는기업을 중심으로 한 카카오, 네이버, 넥슨, 넷마블 그룹 등은 대규모기업집단의 요건을 충족하여 규제 대상에 포함되고 있다. 이들 기업집단들은 종래의 재벌로 분류될 수 있는 최상위 대규모기업집단과 지배구조나 업종분포 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플랫폼 사업자로서의 위상이 강화되고 있는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 재벌을 전제로형성되었던 규제체계의 변화 필요성을 낳고 있다.
    나아가 신흥 대규모기업집단의 등장은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한 규제체계 전반을 재고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업종 분포도를 포함한 대규모기업집단 지정에 관한 실질적 요건의 도입, 기업집단 유형에 따른 적절한 규제체계의 정립, 소유집중에 관한 올바른 문제 설정 그리고 플랫폼 기업집단에 대한 적절한 지정 기준의 제시 등이 현재의 시점에서 대기업집단 정책의 과제로서 주어지고 있다. 근본적으로 대기업집단 정책의 기본 방향이경제 운영의 주체를 소수의 재벌에서 다수의 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에 있다는 점은 경제와 산업구조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확고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국민경제 전체의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결정 권한이 소수의 개인에게 집중되지 않고 경쟁에 노출되어 있는 다수의 기업에 분산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ct of 1987, regulations were introduced to curb economic concentration, and regulations on large business groups presented as a legal concept for chaebol began. Since then, the basic framework of the regulation has been maintained so far, but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details. It was changed from the prohibition of holding companies to the principle of permission, and instead of the abolition of the total investment restriction, a new circular investment ban was introduced, and regulations on unfair support or private interest acquisition were introduced. This change can be seen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changes in chaebol in the real economy, but whether this is sufficient is a matter of continuous consideration.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recent emergence of a new type of large business groups. These business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vernance and industry distribution from the largest groups that can be classified as conventional chaebols, and their status as platform operators creates a need for changes in the regulatory system that was previously formed on the premise of chaebol.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new large business groups i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overall regulatory system to curb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The introduction of practical requirements for the designation of large business groups, including industry distribution charts,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regulatory frameworks according to types of business groups, establishment of correct issues o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presentation of appropriate criteria for platform business groups at this point.
    Fundamentally, the basic direction of large business group policy is to shift the main body of economic operations from a small number of chaebols to a large number of companies, which needs to be firmly maintained amid drastic changes in the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Most importantly, to maintain the momentum of the national economy, decision-making authority should be distributed to a number of companies exposed to competition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a small number of ow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