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공간 상상력의 전이와 ‘태평양’의 문화정치학 (The Transition of Spatial Imagination and Cultural Politics of ‘The Pacific’ in 1945~1950)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09.06
47P 미리보기
해방기 공간 상상력의 전이와 ‘태평양’의 문화정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26권 / 103 ~ 149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구(舊) 제국 권역의 해체와 조선반도를 향한 대규모 인구의 이동, 그리고 국제 정세에 의한 38선 획정 등 탈식민 상황에서 부상하게 된 일련의 공간(성) 문제는 근대 민족/국민국가 일반이 배타적인 공간 점유를 통해 비로소 성립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1945년 8월 15일 직후의 ‘탈식민’ 조선과 1948년 남한 단정 수립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기획의 자장 안에서 생산된 공간 담론의 커다란 특징 중 하나는, 이 과정에서 해양이라는 공간을 재발견하며 이를 새롭게 의미화하기 위해 상당한 문화적 공정을 수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식민주의 사관에서 대륙 세력도 해양 세력도 아닌 조선의 반도성이 한국사의 타율성을 결정하는 요소였다면, 탈식민 시기 ‘반도성’은 대륙과 해양 양 방면으로의 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지리적 유리함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남한 단정 이후 반도의 대륙성보다는 해양성이 보다 현저하게 선호되었으며, 동시에 바다는 철저히 국민국가의 주권이 행사되는 <영해>로서의 바다와 국민국가들이 공유하는 <공해>로서의 바다로 구획되어진다. 이처럼 영해/ 공해라는 국민국가식 영토 개념을 통해 바다를 구획화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의미화된 공간이 바로 ‘태평양’이다. 의미화의 계기는 크게 세 방향인데 첫째, 탈식민 직후 남한에서 생산된 태평양에 관한 언술들은 1940년대 초반의 <대동아(일본)-태평양>의 의미 연관을 해체하며, 민주주의가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 장소로서의 <태평양-아메리카>의 새로운 연관을 구성한다. 둘째, 태평양은 민족 독립 운동의 거점 장소라는 영광의 기원 서사와 관련되는 동시에, 과거 태평양전쟁에의 동원이라는 불행의 수난사 양자 모두와 관련됨으로써 철저하게 국민국가화된 의미망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태평양 기호의 보다 극적인 의미화는 1949년 중국 대륙 공산화 이후 본격화된 냉전과 더불어 시작된다. 진영론의 관점에서 많은 제 3세계 국가들이 위치한 태평양은 소련과의 체제 경쟁에서 지켜내야 할 장소로 표상되면서 불과 수년 전의 <인종의 바다>에서 <이념의 바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었다. 요컨대, 이 시기 태평양은 1945년 이후 동아시아 일대의 공간 질서를 재편하게 만든 전 지구적 권력으로서의 아메리카와 직결된 기호였다.

    영어초록

    With the break up of old empire territory, the migration of people in large scale to Korean peninsula and demarcation of the 38 line by world political situation, a matter of space has come up to the surface in ‘post-colonial’ period. It is worth of note in terms that modern nation state is not completed until it occupies the exclusive national territory. During this period,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 things in spatial discourse produced in south Korea was a rediscovery of the sea or ocean and it went through the cultural political procedure. It was made to give a new significance.
    In colonial view about Korean history, the being of peninsula is regarded to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by which Korean history has been always depended on other countries. But in this ‘Post-colonial’ period, it has become to be taken geographical benefit by which Korea can make connection with both continent and ocean. But after establishment of South Korean government under 38 line, the affinity to ocean has been much emphasiz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inent. And The sea is devided into <the territorial waters> and <the open sea>. The one is the place where the sovereignty of modern nation state has its validity, and the other belongs to all nation state in principle. Within this process, this article has found that the Pacific obtains new meaning in contrast to colonial period.
    The momentum of new meaning comes from three directions. First, New discourse of the Pacific has broken the old connection of <The great Asia(Japan)- Pacific ocean> in ealry 1940's. And it makes a new connection of <America-Pacific ocean> as the place where the Democracy gains its victory in the end.
    Second, The Pacific is settled into the narrative of honorable origin as the holly place where the fight for Nation's independence has taken. Simultaneously, the Pacific ocean has correlation with the narrative of suffering during the Pacific war. So it has been located in the middle at the network of meaning that has has been colored by the Nation state discourse.
    Finally, the most dramatic signification of the Pacific begins with the Cold war which has been accelerated after the communization of China in 1949. The sign of the Pacific -where many poor countries are located- has been changed as the place to be preserved in the competition of USSR in the terms of bloc theory. The Pacific was regarded as <the sea of race> before no more than several years. But it quickly gains new meaning as <the sea of ideology>. In a word, the Pacific was the sign connected directly America as a global power which make the new spatial order of East-Asia after 1945, so called ‘Post-coloni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