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국어 어휘력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Vocabulary Abilities of Student with Visual Impaired Students to those of Normal Studen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08.03
27P 미리보기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국어 어휘력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9권 / 1호 / 251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해균, 김옥현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 중·고등학생의 국어 어휘의 요인별 즉, 동의어, 반의어, 하위어, 유의어 이해력과 정답률 차이, 시각장애학생의 변인에 따른 어휘력 차이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서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으로써, 시각장애학생의 국어 어휘 지도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시각장애학생 120명과 정안학생 191명, 총 311명으로 전국에 소재한 시각장애학교와 서부 경남에 소재한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이다.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요인별 국어 어휘력의 비교에서는 정안학생들이 시각장애학생보다,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의 어휘력이 높았으나, 전체적인 비교에서 정안 중학생과 시각장애 고등학생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어휘력의 요인별 정답률 비교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정안학생이 시각장애학생보다 정답률이 높았다. 그러나 하위어 ‘시대에 따른 소설’ 문항과, 유의어 ‘춘부장’과 ‘샛별’ 문항의 정답률은 시각장애학생의 정답률이 약간 높았다. 셋째, 시각장애학생의 변인별 어휘력 비교에서는 맹학생보다는 저시력 학생이, 기숙사보다는 자택에 거주하는 학생이, 선천성보다는 후천성 학생의 어휘력이 다소 높았으나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into comparing the comprehension of Korean vocabulary elements composed of absolute synonyms, antonyms, hyponyms and partial synonyms of the visually impaired with that of norm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of the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the variable elements of the visually impaired so as to use this research in teaching the visually impaired the Korean vocabularies.
    The concrete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 will find out the comprehension difference of Korean vocabularies and the normal students. Second, I will find ou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Korean vocabularies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rmal students. Third, I will find out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visual handicap, the type of residence and the time of visual handicap.
    I make up a question to 120 visually impaired students all around the country and 19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western Gyeong Sang Nam Do.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a month from May 10th, 2006 to June 10th, 2006. I called the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rmal school beforehand, got a permission to make a research and then post research papers to them. The question paper was translated into Braille to the blind and enlarged into 20 point to the students having a bad eyesight. The 150 copies of research paper was sent to the visually impaired and 200 copies of them to the general schools. The 120 copies of them was brought back from the visually students and 191 copies of them from the normal students.
    The research paper were analyzed with SPSS 10.0 for windows. The dual variable analysis is used for the comparison of vocabulary ability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rmal students. The frequency analysis is used for the comparison of correct answers in each element of vocabulary ability. And The independent T analysis is used for the comparison of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conclusion based on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vocabulary ability of norma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vocabulary a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high school is higher than that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middle school. Bu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high school.
    Seco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normal stude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But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s of hyponyms of ‘novels according to an era', partial synonyms of ‘other people’s father'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Venus' better than the normal students.
    Third, the vocabulary ability of students having bad eyesight, living in their own house and having acquired visual disability is higher than the blind, the students living in the dormitory and having inborn visual disability. And the vocabulary ability of urban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students. Bu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vocabulary of the normal students in the country and that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the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