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호시가에 형상된 ‘풍월주인’과 생태적 상상력 (A Study of the Pungwoljuin and Ecological Imaginations in Gang-Ho Shig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7.11
28P 미리보기
강호시가에 형상된 ‘풍월주인’과 생태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43권 / 245 ~ 272페이지
    · 저자명 : 박영주

    초록

    그동안 강호시가는 작품 산출 당대의 자연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자연인식과 문학적 형상화가 오늘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자연을 시적 제재로 삼은 조선시기 강호시가에 형상된 風月主人과 해당 문맥에 투영된 生態的 想像力을 고찰함으로써, 오늘의 현실에서 제기되는 문제와 연관된 고전의 생명력, 오늘의 삶과 문학이 추구해야 할 가치의 단면을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風月主人은 강호시가에 형상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자연 속 인간의 위상을 표상하는 개념이다. 풍월주인의 해당 문맥에서의 의미는 화자의 태도 및 가치 지향의식에 따라 자연의 소유자, 대표자, 동반자로 차별되는 양상을 보인다. 여기에는 자연의 지배자나 주재자라는 인식이 배제되어 있으며, 자연의 사물․현상․속성이 베푸는 혜택을 누리며 생활하는 향유자적 시각이 공통적으로 배어 있다.
    風月主人에 투영된 생태적 상상력은 자연 속 인간의 위상 인식에 바탕을 둔 감성적 표현 양상에 따라, 관념적 소유의식이 투영된 인간화된 자연을 통해 이상적 현실의 삶을 현시하는 ‘성찰적 재현’, 자연의 대표자로서 실천적 공존의식이 투영된 낭만화된 자연을 통해 일상적 현실의 삶을 미화하는 ‘의존적 예찬’, 자연의 동반자로서 낙천적 합일의식이 투영된 與物化된 자연을 통해 초월적 현실의 삶을 체현하는 ‘상생적 동화’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생태적 상상력에는 자연과 더불어 어떻게 삶을 영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결부된 화자의 태도와 가치 지향의식이 배어 있으며. ‘의존적 예찬’이 주된 흐름을 이룬다.
    자연은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가장 종요로운 요소라는 인식 위에서 의미화된다. 강호시가에 형상된 風月主人에는 이렇듯 자연 속 인간의 위상 및 인간의 삶과 결부된 생태적 사유와 상상력이 집약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강호시가로부터 우리는 자연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통한 삶의 통찰력과 감성의 새로운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찰력과 감성은 오늘의 삶과 문학이 추구해야 할 주요한 가치의 단면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facets of pungwoljuin(風月主人, a man who loves nature) and their ecological imaginations as described in Gang-Ho Shiga(江湖詩歌, poems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raise of nature). The objective is to contemplate the timeless life of literary classic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issues, and to identify values that should be pursued in life and literature.
    Pungwoljuin is a concept that represents the status of human beings within nature. Its contextual meaning varies between an owner, a representative, and a companion of nature, depending on the speaker’s attitude and idealism. Ecological imagination as exhibited in pungwoljuin can be described as reflective representation, dependent admiration, or mutual assimilation, depending on the speaker’s poetic expression of nature.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of pungwoljuin, a new horizon of insights into life and sensibilities can be explored based on an ide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