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KBS 지역국 통합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A Study for the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Effects of the Mergers between KBS’s Local Center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6.06
35P 미리보기
KBS 지역국 통합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공사
    · 수록지 정보 : 방송문화연구 / 28권 / 1호 / 153 ~ 187페이지
    · 저자명 : 한진만, 변상규

    초록

    지상파 방송은 무료 보편적 서비스로서 공익성을 구현하는 대표적 미디어이다. 그리고 지역성 구현은 방송의 중요한 공익적 역할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래서 우리나라 3대 지상파 네트워크는 물론 케이블 SO들 모두 지역방송사(국, 채널)들을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환경이 극심하게 변화되면서 재원을 중심으로 지역방송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그리고 지역 방송권역이 무력화되기 시작하면서 어려움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그간 지역방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과 구조개편 방안들이 학계와 업계에서 제시되어 왔다. 특히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통합 등 구조개편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KBS와 MBC가 이미 일부 지역사(국) 간 통합을 추진하였고, 추가적인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등 통합은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해 지역사(국)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 중 하나로 떠올랐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인 KBS가 지역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지역국 간 통합 방안에 대하여 예상되는 성과를 분석하였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KBS와 유사하게 운영되는 공조직들의 경영효율성 평가에 활용되어 온 DEA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평균적으로 총국들의 경영효율성이 을지국에 비해 높게 나타나, 총국과 을지국 간 일괄 통합이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개별 지역국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여 비효율적인 지역국만 골라서 구조개편을 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참고자료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해관계의 대립으로 야기될 어려움을 극복하고, 생산적인 논의를 전개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통합의 궁극적인 목표인 지역성 강화를 위한 지원책들을 적시에 추진하여 방송사업자들의 자구노력과 시너지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errestrial Broadcast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medium serving public interests. And the localism has been accepted as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them. Therefore Korea’s three big terrestrial broadcasters had completed nationwide local networks. However, the local broadcasters are facing crucial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the digital technologies. Especially their difficulties is focused on the long-term revenue shortage. Moreover, their exclusive franchise within the local territory is weakening by mobile streaming TV. Various helpful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and studied by the academy and industry experts. Meanwhile, some mergers were accomplished between local affiliates(or centers) in the network. But no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about their substantial structure change which can be accompanied by considerable pains. Mergers can easily be expected to result in the economies of scale effect by saving cost and expanding market. This study analyzes the outcomes of the KBS’s merger plan among local centers. It is Korea’s main public broadcaster and operated by the public fund. The DEA is carried out to derive an objective and reasonable result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estimating the public owned organizations. From the analyses, the nationwide collective mergers between the big and the small centers in a local territory could be reasonable project because the bigs had higher efficiencies than the smalls on an average. Moreover, efficiencies of each local centers have been analysed too for plan B, pin-point mergers. This quantitative research can support the productive discussion among conflicting interests by suggesting the objective criterion. In addition if the government keeps pace with broadcasters’ endeavor, considerable synergy can be exp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