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계 박물관 전시공간의 흡입력과 지속력 분석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영역의 연출매체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ion Areas at Science Museum - Focused on Analysis on Exhibition Method of Exhibition Spaces at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02
8P 미리보기
과학계 박물관 전시공간의 흡입력과 지속력 분석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영역의 연출매체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권 / 1호 / 165 ~ 172페이지
    · 저자명 : 임채진, 추성원, 박무호

    초록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 상설전시실을 대상으로 전시물의 흡입력과 지속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연출매체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다각적인 전시환경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에서 시도되었던 전시물의 이용여부와 이용시간을 중심으로 분석된 방법적 한계를 보완하여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이 조사⋅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관람동선이 유도적일 경우 전시물의 흡입력과 지속력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관람동선이 유도적일 경우 전시물의 반복관람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정지관람 없이 이동하면서 관람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전시공간 내에서 대부분의 전시물이 흡입력과 지속력이 높다는 것은 전시물의 밀도가 낮거나, 전시공간의 크기가 작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국립과천과학관과 같이 규모가 큰 다수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관람객의 자연스러운 전시물 선택과 적절한 관람동선의 유도를 통해 주관람동선과 선택관람동선이 구분되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주동선의 전시환경에 따라 전시물의 흡입력에 영향을 미치며, 선택동선의 이용여부가 흡입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전시물의 속성과 전시공간내 휴게공간의 적절한 배치가 전시물의 지속력을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의 상설전시실을 대상으로 한정된 연구의 범위에서 진행되었으며, 향후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서울과학관의 국내사례와 더불어 일본의 과학관들과 비교분석을 통해 과학계 박물관의 전시공간을 평가 하는데 있어 유효성 있는 분석자료를 구축하고 한다.

    영어초록

    Visitors’ behaviors within an exhibition space are a substantial means to grant spatial arrangement and validity of exhibits.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visitors’ behaviors in the viewpoint of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s on the basis of exhibition layout of real science museums.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grasped efficiency of analysis index and exhibition environment elements which might have an effect on planning the exhibition space of a large-scale museum and producing detailed ranges of exhibition. The main indicators used are: 1. Attraction power: it indicates the relative incidence of people who have stopped in front of an object/exhibit during the exhibition tour.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eople who stop by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have visited the museum or gallery. 2. Holding power: it measures the average time spent in front of an information/communication element.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verage time of stay by the time “necessary” to read an element. As a result, It was expected that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 would be increased when moving line of seeing was inductive. However, when the traffic movements of seeing was inductive, repetitive seeing of exhibit was almost never realized and visitors had a strong tendency which viewed on their way of moving without viewing on their way of stopping. On the other hand, it may mean that density of exhibit is low or size of exhibition space is small that most of exhibits within exhibition space have high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As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when a museum is composed of many large-scale exhibit halls, it should be formed by separating the main moving line of seeing from the optional moving line of seeing through visitors’ natural choice of exhibit and proper inducement of moving line of seeing. In such structure, exhibition environment of the main moving line has an effect on attraction of exhibit and the use of optional moving line acts as a factor to increase attraction.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attribute of exhibit and proper arrangement of rest space within exhibition space will increase holding power of exhib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