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원자력책임법에 관한 소고 (Die Studie zum deutschen Atomhaftungsrec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08
43P 미리보기
독일 원자력책임법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4권 / 1호 / 261 ~ 303페이지
    · 저자명 : 안경희

    초록

    독일법상 원자력사고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은 원자력법, 파리협약과 같은 국제법 및 손해배상에 관한 일반법인 독일민법상 손해배상규정에 의하여 규율된다. 원자력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책임요건이 법정되어 있다. 첫째, 원자력시설에 의한 원자력사고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원자력시설보유자가 제25조와 파리협약에 근거하여 무제한적인 위험책임을 부담한다. 둘째, 원자력선에 의한 원자력사고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25조의a와 브뤼셀 원자력선협약에 의하여 원자력선보유자가 역시 위험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셋째, 이러한 요건에 포섭되지 아니하는 기타의 원자력손해에 대하여는 제26조에 따라서 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는데, 일부는 위험책임으로, 일부는 면책가능성이 인정되는 변형된 위험책임의 형태로 법정되어 있다.
    원자력손해를 입은 피해자의 보다 확실한 권리구제를 위하여 원자력시설보유자 등에게 무한책임을 부과하고 있다 하더라도, 배상의무자가 이를 이행할 재정적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러한 규정을 둔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원자력법에서는 원자력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있어서 손해배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면에 있어서는 원자력시설보유자의 손해배상조치의무를, 타면에 있어서는 국가의 면책의무를 법정하고 있다.
    나아가 파리협약의 체약국에서 원자력사고가 발생하였으나 동협약에 의하여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 경우와 기타 외국법에 따라서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되면 독일법에 비하여 손해배상의 종류, 규모 및 최고액이 상당히 적은 경우에는 독일연방은 면책의무의 최고한도액인 25억 유로까지 피해자에게 보상책임을 부담한다.

    영어초록

    Grundlage des deutschen Atom- und Strahlenschutzrechts ist das Gesetz über die friedliche Verwendung der Kernenergie und den Schutz gegen ihre Gefahren(Atomgesetz). Das deutsche Atomhaftung- srecht ist im vierten Abschnitt dieses Gesetzes(§§25 ff. AtG) und in den Pariser und Brüsseler Atomhaftungsabkommen nebst Zusatzverein- barungen normiert.
    Die im Atomrecht geregelte Gefährdungshaftung greift vor allem für Schäden aus einem von einer Kernanlage ausgehenden nuklearen Ereignis ein(§25 Abs. 1 AtG). Ein weiterer Haftungstatbestand besteht für nukleare Ereignisse auf Reaktorschiff(§25a AtG). §26 AtG bildet einen Auffangtatbestand für sonstige Strahlenschäden.
    Die Haftungsregelung des §25 Abs. 1 AtG ist gekennzeichnet durch den sog. Grundsatz der rechtlichen Kanalisierung, den das Atomgesetz in Anpassung an die internationalen Atomhaftungsübereinkommen übernommen hat. Danach haftet ausschließlich der Anlageninhaber und nicht der Hersteller. Nach Art. 3 des Pariser Atomhaftungsüberein- kommens haftet der Inhaber einer Kernanlage für Schäden an Leben oder Gesundheit von Menschen und für Schäden an oder den Verlust von Vermögenswerten, wenn bewiesen wird, dass der Schäden durch ein nukleares Ereignis verursacht worden ist, das in der Kernanlage eingetreten oder auf Kernmaterialien zurückzuführen ist, die aus der Kernanlage stammen.
    Die im Rahmen der zur Sicherung etwaiger Schadensersatzver- pflichtungen des Betreibers dienenden Deckungsvorsorge nach §13 AtG jeweils behördlich festzusetzende Deckungssumme darf jedenfalls eine Summe von 2,5 Mrd. Euro nicht überschreiten. Die Einrichtung eines Fonds, in den die festgesetzten Summen einzuzahlen sind, ist gesetzlich nicht vorgeschrieben. Gemäß §14 Abs. 2 AtG, §1 Nr. 2 AtDeckV ist es möglich, dass die von den Anlagenbetreibern zu treffende Deckungsvorsorge anstatt durch eine Haftpflichtversicherung auch sonstige finanzielle Sicherheiten erbracht werden kann. Dies führt dazu, dass den Stromversorgungsunternehmen ermöglicht wird, sich im Rahmen eines “Solidarmodells” gegenseitig selbst zu versichern.
    Für den Fall, dass die Erfüllung der summenmäßig unbegrenzten Haftungsansprüche nicht voll gesichert ist, begründet §34 AtG für den Differenzbetrag eine Freistellungsverpflichtung des Staats gegenüber dem Anlageninhaber. Der Höchstbetrag der Freistellungsverpflichtung des Bundes beträgt 2,5 Mrd. Euro. Bei einem Betrag von unterhalb von 500 Millionen Euro sind gemäß §36 S. 1 AtG die Kosten nur zu 75% von Bund zu tragen. Eine alleinige Einstandspflicht trifft den Bund demnach bei Betragen von 500 Millionen Euro bis zu 2,5 Mrd. Euro.
    Schließlich fungiert nach §38 AtG der Bund als Ausfallbürger bei grenzüberschreitenden Schädigungen. Die Regelung gilt allerdings nur für Schadensfällen in Vertragstaaten des Pariser Übereinkomm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