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 세대 영화의 정치적 상상력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Films from the Contemporary Young Generation in South Kore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0.11
31P 미리보기
청년 세대 영화의 정치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9호 / 105 ~ 135페이지
    · 저자명 : 김선아

    초록

    한국영화가 가장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한 시기는 80년대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청년세대는 이전의 한국영화와 단절을 선언하면서 영화와 혁명과 민중을 함께 이야기했다. <파업전야>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청년세대 영화일 것이다. 청년세대의 문화는 ‘특정한 역사와 문화의 시기에 지배 문화에 대한 대응과 저항을 보여주는 특정 하위문화의 연령, 스타일, 그리고 행동’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당시의 청년세대 영화는 지배적인 상업영화에 대한 저항과 대응을 한국영화 역사상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준 바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영화가 변방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던 90년대를 거쳐 주류 영화가 된 후 현재의 새로운 청년 세대의 영화가 등장한다.
    본 논문은 독립영화에서 코리안 뉴 웨이브로 이어지는 과거의 청년 영화가 아니라 현재, 정확하게 2000년대 이후의 청년 세대의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청년세대의 영화는 과거 80년대 청년 세대의 영화를 엄숙주의와 아마추어리즘으로 규정하고 단절하면서 동시에 기존 상업영화의 기술과 장르를 흡수하는 모순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모순적 움직임 속에서 청년 세대 영화는 이전과는 다른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다. 민중과 혁명을 위한 청년 영화가 상상했던 ‘그 정치’가 아니라 사회와 영화 매체에 대한 ‘자의식성’을 바탕으로 한 아이러니한 영화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청년 세대는 영화를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사회적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 영화에서 영화라는 매체는 자본주의 아래에서의 인간의 ‘못난 감정’을 표현하는 기계 장치이다. 청년 세대 영화는 또한 이전의 정치적인 무기로 영화를 고려했던 청년 세대의 영화보다 훨씬 더 다층적이면서도 보다 자의식적인 미학을 통해 영화 매체를 난국에 처해있는 개인의 감정이 공적으로 보편화되는 접합의 장소에 놓고 있다. 과거 청년 세대가 보여줬던 정치적 영화에 대한 피로감을 드러내면서 냉소적 아이러니로 빠지거나, 현실과 장르간의 변증법적 관계에 놓인 장르영화가 아닌 현실을 과잉현실화한 장르영화에 매몰되지 않는다면 오늘날 젊은 감독들의 영화는 삶이 아닌 영화 미학을 정치적인 표현의 토대로 삼은 새로운 세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said that South Korean films were the most political in the 1980s. The films and film criticisms made by the young generation had manifested the break with the previous South Korean cinema and constructed the discourse of cinema always related to people’s realities and struggle against oppression for a political revolution. The Night before the Strike (Paukgeonya, 1990) that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films by the young generation bringing out the turbulent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e young generation’s films of the 80s were called "non-institutional films", "independent films" or "non- commercial films" in terms of maintaining the resistance and responses opposed to commercial cinema. The independent cinema by the young generation's revolutionary waves of the 80s became a sort of an infrastructure of "Korean New Wave"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which has been considered progressive and unprecedented movements in the institutional and commercial fiel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ilms of the new young generation of the ’90s and the 2000s, which emerged after the Korean New Wave led by the young generation that dominated Korean cinema in terms of the institution and industry since the 80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the new young generation's films and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political interpretations. Self-reflexivity as well as a sense of irony towards the society and the ’80s non-institutional films or Korean New Wave Cinema ar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young generation's films, such as My Generation(2003) or Milky Way Liberation Front(Eunha-habang-jeonseon, 2007). The new young generation tends to make us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its film genres treat the films of the ‘80s young generation as incomplete amateur and coarse films in terms of aesthetics and ideology.
    The films of the new young generation usually use self- reflexivity to express "ugly feelings" of individuals living in a post-capitalist society. It contemplates society as hyper-real and spectacular. As long as the new young generation does not fall victim to cynical irony and is not exhausted with the biased ideas of the former generation who just considered cinema to be a political weapon, the young generation's films today might be more political than 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