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onceptualizing Digital Video Literacy to Promote Digital Storytell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12
29P 미리보기
Conceptualizing Digital Video Literacy to Promote Digital Storytelling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41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This paper is about multi-literacies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stipulating digital video literacy to promote the benefits of digital storytelling. The growing importa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new media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cannot be ignored. Understanding more about the meaning making practices through digital video literacy by incorporating visual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s significant topic to discuss. Educating digital video literacy allows students to decipher, interpret, create and understand digital storytelling that is associated with digital technology. Chung (2006, 2007a) presents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storytelling as a form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art classrooms by arguing that "digital storytelling offers tremendous potential for integrating and teaching contemporary visual culture, greater issues of concern, and multimedia arts to the digital generation"in art education (Chung, 2006: 34). Chung (2006: 34) further elaborates on this notion by relating art education to today’s art. Digital storytelling is applicable to art education because it empowers "art learners to cultivate and apply their multiple literacy, artistic, and critical skills to voice their concerns or address greater issues of significance to an ever larger global audience" I also believe that digital storytelling can be implemented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regarding a) critical thinking and discerning eyes, b) an understanding of art elements and principles of videos, c) storytelling through multi-literacies, and d) new types of self-representation, digital ethics and copyrights.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become relevant to the teaching of contemporary art, and can offer pedagogically diverse aspects of literacies in digital media making. Depending on how those literacies are taught and introduced in art educational settings, students who are digitally literate can achieve competency in communicating with contemporary art. Educating students about this set of abilities (digital video literacy), where visual, digital, and media literacy overlap in digital art classrooms, would allow for new forms of communication, adaptation, understanding, and the transformation to students who are digital n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