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생명철학, 수렴과 분기의 지점들 - 생명원리와 개체성, 정상과 병리, 생성과 로고스 (The philosophy of life by Bergson and Canguilhem: The points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 principles of life and individuality,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becoming and logo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3.11
34P 미리보기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생명철학, 수렴과 분기의 지점들 - 생명원리와 개체성, 정상과 병리, 생성과 로고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50호 / 99 ~ 132페이지
    · 저자명 : 황수영

    초록

    근대 이후에는 과학주의의 위력으로 인해 생명이 철학적 사유의 진지한 대상이 되지 못했다. 세계를 의식과 기계로 양분한 데까르뜨에서 생명은 기계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그 범주적 고유성을 잃는다. 19세기에는 꽁뜨의 실증주의 생명관이 생기론을 제압하면서 생명과학은 물리화학적 패러다임에 종속된다. 오늘날 이런 환원주의적 태도 역시 경계의 대상이며 생명이 나타내는 복잡성 앞에서 좀 더 유연하고 포괄적인 관점이 요구되고 있다. 철학은 생명에 대한 사유를 단지 물리화학의 일부로 취급되는 한에서의 생물학에 맡겨놓을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심화하고 확대해야 한다는 생각은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공통적인 태도이다. 베르그손은 생명에 대한 거대서사를 썼고 깡길렘은 그를 이어받으면서도 거대서사로서의 생명 형이상학이 빠질 수 있는 아포리아들을 피해가면서 생명의 세부적인 문제들에 천착하여 실증주의의 난점을 지적하고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제시한다. 이 두 생명철학자들을 비교하기 위해 우리는 생명원리와 개체성, 정상과 병리, 생성과 로고스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고 거기서 그들이 관점이 수렴되는 지점들과 분기되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영어초록

    Since the modern age, the theme of life has often been omitted from philosophical thinking, under the influence of scienticism. Descartes, who divided the world into consciousness and machines, treated life as a part of a machine, which deprived life of its proper specificity. From the 19thcentury,wherethepositivismofComtesurpassedFrenchvitalism,thelifesciencessubmittedtotheparadigmofphysicalchemistry.
    Today, this type of reductionnism is no longer certain. We need a more global and malleable perspective before the complexity that life phenomena show. The idea that philosophy should not leave life to biology, which works only in the paradigm of physical chemistry, and that, on the contrary, it should deepen and widen the theme as such constitutes common attitude of Bergson and Canguilhem.
    Bergson wrote a grand narrative of life,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élan vital. Canguilhem, although he inherited some Bergsonian ideas, avoids aporias left from his metaphysics of life. He concentrates himself on detailed problems that leaving individuals show and tries to solve them from his original perspective, which opposes Comtien view. To compare these two philosophers, we will examine three subjects – the principles of life and individuality,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and becoming and logos – and we will see in what points these two authors converge and diver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