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약성경의 율법들 - 계약법전(출 20:22-23:33), 성결법전(레 17-26장), 그리고 신명기법전 (신 12-26장)의 원천: 십계명 - (The Origin of Old Testament Laws -the Book of Covenant(Exod 20:22-23:33), the Holiness Code(Lev 17-26), and the Deuteronomic Law(Deut 12-26): The Decalogu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08.02
35P 미리보기
구약성경의 율법들 - 계약법전(출 20:22-23:33), 성결법전(레 17-26장), 그리고 신명기법전 (신 12-26장)의 원천: 십계명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19권 / 29 ~ 63페이지
    · 저자명 : 김회권

    초록

    이 논문은 구약성경은 3대 율법 집성물인 계약법전, 성결법전, 그리고 신명기 법전이 고대 힛타이트 종주-봉신 조약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그것들의 원천이 바로 이 야웨와 이스라엘의 시내산 계약관계를 지탱시키는 십계명이며 그것들은 결국 십계명의 확장적인 적용임을 주장한다(최신판으로 수정증보된 십계명의 구체적 적용본들). 이 논문은 각 율법 집성물의 역사적 기원을 밝히는 역사적 연구가 아니라 십계명과 그것들의 상호관련성을 공시적으로 연구한다. 이 연구는 구약성경의 율법들이 국가공동체의 사회적 삶을 규정하고 있는 시민법적인 요소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야웨와 이스라엘의 계약이라는 특수상황에서 효력을 가진 종교적인 법령들이었음을 주장한다. 구약율법이 현대의 세속국가의 법령들과 가장 큰 차이를 드러내는 곳은 구약성경의 율법에는 연대책임, 공동체책임 등의 개념들이다. 개인의 죄악에 대한 개인의 죄책원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겔 18:1-4), 많은 경우 구약성경의 율법들은 어떤 율법이 지켜지지 않아 파국이 초래되는 경우 공동체 구성원 모두를 향해 죄책을 책임질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구약성경 율법들은 율법을 어겼을 때 받게 되는 징벌도 강조하지만 그것을 지켰을 때 받게 될 보상들과 복들에 대해서도 아주 많이 강조하고 있다. 16세기 종교개혁자 캘빈 이래로 십계명과 이 율법 집성물들 사이의 상관성에 대한 주목이 이뤄져 왔기 때문에 이 글이 새삼스럽게 이 점을 밝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글은 이 상관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구약의 율법들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특수한 언약관계 안에서 파생된 율법들임을 다시금 강조하는 한편이 구약성경의 율법들이 자연법 사상으로 뒷받침되는 현대국가의 법률체제와 어떻게 조우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예비적 연구로 자리매김되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Starting from the assumption that three major collections of OT laws, namely the Book of Covenant(Exod 20:22-23:33), the holiness code (Lev 17-26), and the Deuteronomic law(Deut 12-26)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the matrix of the ancient Hittite suzerain-vassal treaty, the present essay argues that they owed their existence to the Decalogue that sustains the Sinaitic covenant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Israel and are to be regarded as its expansive applications(upgraded and updated versions). This study takes a synchronic approach to these OT law collections rather than a historical one in demonstrating how the Decalogue relates to them respectively. This study contends that OT laws were religious stipulations that were to be enforced in and by a special community covenanted to God like ancient Israel, even though they partially show civil and secular features. OT laws reveal striking dissimilarities from modern secular state laws in such concepts as corporate punishment and communal responsibility for crimes and sins committed in community. While some OT laws emphasize individual responsibility of bearing punishment (Ezek 18:1-4), in most cases OT laws proclaims to a concerned community that it should shoulder a corporate responsibility of carrying a divine punishment. On the other hand, OT laws highlight compensations and blessings which will come upon an individual or community if each agent will have obeyed God. Given that the dependence of these 3 major OT law collections upon the Decalogue has been widely noticed since John Calvin in the 16th century, the present paper is not meant to be presented as a groundbreaking work in a sense. It only proposes that more seriou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ligious nature of OT law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special covenant relationship of Israel to Yahweh. It is also hoped that this work can be seen as a preliminary study on how to how OT laws can interact with modern secular legal systems based on the idea of Natura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