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사이 료이(浅井了意)가 『삼강행실도』에서 발견한 ‘진실된 마음가짐’과 ‘아와레(哀れ)’ (“Sincere Mindset” and “Aware (哀れ)” : A Study on Asai Ryōi’s Japanese Translation of Samgang Haengsildo)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5.02
21P 미리보기
아사이 료이(浅井了意)가 『삼강행실도』에서 발견한 ‘진실된 마음가짐’과 ‘아와레(哀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6호 / 391 ~ 411페이지
    · 저자명 : 우채리

    초록

    일본 에도 시대의 정토진종(浄土真宗) 승려이자 가나조시(仮名草子) 작가인 아사이 료이(浅井了意, ?-1691)는 1660-70년경 조선의 관찬 교화서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일본어로 번역하였다. 아사이 료이는 효자, 충신, 열녀의 절행을 단순히 행동의 사례로 제시하는 것을 넘어, 그 이면에 담긴 ‘마음가짐(心ざし)’의 진실함과 이에 대해 주변 사람들이 느끼는 ‘아와레(哀れ)’라는 일본 특유의 감정을 번역에서 반복적으로 부각하였다.
    ‘진실된 마음가짐’은 정토진종 교리에서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로, 마음을 다해 부처를 믿고 염불을 외우면 된다는 간단한 가르침과 맞닿아 있다. 또한, ‘아와레’라는 복합적이고 깊은 감정은 불교의 세계관인 ‘제행무상(諸行無常)’과 불교에서 중시하는 ‘자비(慈悲)’의 개념과도 연결된다. 그는 종교적 신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불교 교리와 연관된 보편적이고 도덕적인 가치를 이야기 안에서 ‘발견’하고 이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삼강행실도』를 번역하였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아사이 료이가 평생 실천해온 대중 계몽과 교화라는 그의 목표를 잘 보여준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해지던 이야기를 유교의 삼강 윤리에 맞추어 편집한 조선의 관찬 교화서인 『삼강행실도』를 정토진종의 배경을 가진 일본인 아사이 료이가 어떻게 재해석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중세 동아시아 이야기의 전파와 수용의 중심에 있는 텍스트로서 『삼강행실도』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Japanese translation of Samgang Haengsildo (三綱行實圖), a state-sponsored Confucian moral guidebook from Joseon Korea, by Asai Ryōi (浅井了意, ?–1691), a Jōdo Shinshū monk and kanazōshi writer during the Edo period. Asai Ryōi's translation emphasizes the “sincere mindset (心ざし)” in the virtuous deeds of filial sons (孝子), loyal retainers (忠臣), and chaste women (烈女), while repeatedly highlighting the Japanese sentiment of “aware (哀れ),” a profound emotional response to these acts.
    The study argues that Asai Ryōi's focus on “sincere mindset” aligns with core teachings of Jōdo Shinshū, particularly the emphasis on wholehearted faith in Amida Buddha and the practice of nenbutsu as pathways to salvation. Similarly, the concept of “aware,” rooted in the Buddhist worldview of impermanence (mujō, 無常) and compassion (jihi, 慈悲), reflects Buddhist values while resonating with Japan’s cultural aesthetics. Rather than overtly promoting religious beliefs, Asai Ryōi reinterpreted Samganghaengsildo by emphasizing universal moral values embedded in the text. This approach reflects his broader goal of public enlightenment and moral education.
    This study situates Samgang Haengsildo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how Asai Ryōi adapted the text for Japanese audiences in alignment with his Jōdo Shinshū background. By analyzing the re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processes, this study highlights Samgang Haengsildo as a pivotal text in the transmission of narrative traditions across medieval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