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The Grounded Theory for the Process of Teachers Building Disaster Resilience in the COVID-19)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2.09
30P 미리보기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39권 / 3호 / 353 ~ 382페이지
    · 저자명 : 이수연, 박경애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을 실천한 경험을 분석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재난 레질리언스를 구축하는 과정에 관하여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0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수도권 초등학교 부장교사 15명과 1대 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개방코딩과 축코딩, 선택코딩을 수행하여 도출된 24개의 범주로 패러다임 모형 구성과 과정분석, 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러다임 모형에서는 중심현상 발현 후 중재적 조건과 대처 전략에 따라 재난 레질리언스가 강화되거나 교육공동체가 파편화되는 이분적 결과가 도출되었다.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은 공동체간의 상호작용과 내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아 ‘미증유의 혼란기, 대처기, 갈등기, 대승적 통합기, 안정기반 구축기’의 5단계를 거쳐 완성되었으며, 학교공동체의 상호작용에 따라 재난 레질리언스를 구축한 학교도 있고, 갈등기에 머문 학교도 있었다. 코로나19 재난에 대처하는 교사의 유형은 ‘소진형, 자기주도극복형, 내적자원강화형, 연대협력형, 실존각성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는 ‘미증유의 혼돈을 교사의 소명의식과 공동체 협력으로 극복하고 재난에 강한 학교로 성장해가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재난은 교사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 성장에는 공동체성의 부활과 사회적 자본의 결집이 중요하다’는 가설적 명제를 제시하고, 학교에서 재난 레질리언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의 사회적 자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ing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explore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and building a disaster resilience. For the study, from October 2020 to March 2021, in-depth interviews with 1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paradigm model composition, process analysis, and type analysis were conducted into 24 categories derived by perform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 theory metho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aradigm model, a dichotomy result was derived in which disaster resilience was strengthened or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fragmented according to the mediating conditions and coping strategies after the emergence of the central phenomenon. The process of building a disaster resilience was completed through five stages of unprecedented confusion, coping, conflict, grand integration, and stability foundation building due to interaction between communities, and some schools stayed during conflict. The types of teachers responding to the COVID-19 disaster were burnout type, self-trust overturn type, human capital reinforcement type, solidarity cooperation type, and existential awakening type. Finally, the core category was composed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unprecedented chaos through teacher's sense of calling and community cooperation and growing into a disaster-resistant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hypothetical proposition was proposed that ‘disaster can lead to growth, and the revival of community and the gathering of social capital are important for this growth’, and in conclusion, teachers' social capital was discus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disaster resilience in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