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학과 교회 - 레위기의 정결법(레 11-15)을 중심으로 - (Theology and Church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Laws on Ritual Purity (Leviticus 11-15))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학과 교회 - 레위기의 정결법(레 11-15)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9권 / 1호 / 301 ~ 328페이지
    · 저자명 : 김선종

    초록

    2020년 3월 12일 WHO의 팬데믹 선언 이래, 현재 3년 동안 인류가 겪은 고난은 인류 역사 속에 반복되어 온 전염병 발생의 또 다른 예이다. 과학만능주의 신화가 여전한 탈종교 시대에 발생한 팬데믹에 대한 대처와 그 과정에서 발생한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노력으로 버거워하는 현실 속 문제를 진단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학과 교회가 실천하고 선포해야 할 바를 레위기의 정결법(레 11-15) 속 피부병 환자 규례에 비추어 논의한다.
    먼저 이 글은 레위기가 창조 질서의 유지에 관한 제사장의 신학을 반영하고 있음을 토대로 현재의 팬데믹과 관련한 정결법은 창조 원리를 역사에 구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망한다. 이어서 코로나 펜데믹 초기 질병 자체가 주는 고통 외에 인간의 부정 편향과 인지편향을 통해 가중된 고통의 원인을 지적하며 부가적 고통이 제의적 정결과 윤리적 정결이라는 정결의
    이중적 차원에 대한 무지에서 발생한 것으로 진단한다. 레위기 11-15장 속 정결법의 정결과 부정은 윤리와 도덕적 죄의 문제와 무관하다. 즉 제의적 부정에 속하는 바 피부병을 다루는 레위기 13-14장에는 죄나 죄의 고백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 글은 레위기 13-14장의 본문 분석을 통해 정결법의 관심사를 밝힌다. 정결법은 피부병 원인에 대한 과학적 추적이 아니라 피부병과 부정함이 낳는 결과와 병이 가져온 현실에 대한 대처에 관심을 둔다. 특히 피부병의 원인을 죄로 명시하지 않으며 격리만이 아니라 회복된 사람이 본래의 삶의 자리로 돌아오는 것에 주의를 집중한다. 정결법 제정의 목표는 부정에서 정결로, 혼돈과 무질서에서 질서로 회복에 있다. 또한 이 글은 문서화된 정결법의 제한성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욥의 항변을 토대로 제시한다. 정결법이 심한 피부병 환자의 궁극적 복귀를 최종적지향점으로 삼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제사장이 정결을 선포하기 전까지 그 환자는 기다리는 방법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즉 성경이 제시하는 이상(부정에 대한 신학적 개념)과 독자의 현실(인식) 사이에는 간격이 있음과 때로 인식의 부조화 현상이 발생함을 인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교회와 신학이 제의적 부정과 관련해 죽음의 경계와 사회 안에 있는 차별의 경계를 뛰어넘어야 하며 윤리적 부정과 관련해 자신과 피조 세계와의 간격을 인지하고 하나님의 새 창조의 현실로 채워 나가야 한다. 진영 밖에 격리되어 외로움과 절망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창조 질서 아래에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치유라는 희망을 전달하고 몸과 마음의 건강을 회
    복시켜야 할 교회의 사명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WHO declared Pandemic on March 12, 2020, the hardships humanity experiences in the past three years are another example of a recurring epidemic in human history. Diagnosing the challenging reality of dealing with the pandemic in the post-corona era and trying to heal trauma in the process, this paper discusses what theology and the church should practice and proclaim in the light of the regulations of skin disease in Leviticus 13-14.
    First of all, this article reflects the priestly theology maintaining a creative order, and predicts that laws on ritual purity having relations with the current Pandemic functions to embody creative principles in history. In addition to the pain caused by the disease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this paper points out the cause of increasing pain through human negative cognitive bias and diagnoses that the additional pain occurred from the ignorance of the double dimension of ritual and moral impurity. Purity and impurity in Leviticus 11-15 is irrelevant to the problem of ethical and moral sin. In other words, there is no confession of sin in Leviticus 13-14 that deals with skin diseases belonging to ritual denial. Next, this article reveals the interests of the laws on ritual purity by analyzing the text of Leviticus 13-14. This laws focus not on scientific tracking of the cause of skin diseases, but on coping with their consequences and reality that these diseases have brought. In particular, the cause of skin disease is not specified as sin, and attention is focused not only on isolation but on the return of the recovered person to his or her original place of life. The goal of enacting the laws on purity is to recover from impurity to purity, and from disorder to order. In addition, this article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purity laws and presents a solution to overcome them based on Job’s case. Although the ultimate goal of the purity laws is to recover patients, in reality, they had no choice but to wait until the priest declares their purific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ideals (theological concept of impurity) presented in the Bible and the reality of the reader.
    Church and theology should overcome the boundaries of death and discrimination in society in relation to ritual impurity,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mselves and the created world in relation to ethical impurity, and fill it with the reality of God’s new creation. The laws on ritual purity convey the hope of God's healing under God’s creative order to those who are isolated from the camp and are in loneliness and despair, and present the church's mission to restore the health of human body and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